[KJtimes=장우호 기자]취업포털 인크루트의 설문조사 결과, 성인남녀의 74%가 본인을 ‘멘탈 을(乙)’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대체적으로 ‘멘탈 갑’은
부정적 의미, ‘멘탈 을’은 긍정적 의미로 생각했다. ‘멘탈 갑’이라는 단어에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에 대한 질문에 과반수인 58%가 부정적인 의미라고 답했다. ‘자기 밖에 모른다’는 답변이 24%로 가장 많았으며,
‘권위적이다’와 ‘남에게 피해를 준다’도 각각 21%와 13%를
차지했다. 반면 ‘카리스마가 강하다’고 답한 응답자도 22%인 것으로 분석됐지만, 대체로 부정적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탈 을’에 대해서는 ‘수많은 선량하고 평범한 사람’이 47%,
‘상황을 받아들일 줄 아는 능력자’가 8%로
과반수가 긍정적 이미지를 떠올렸다. 하지만 부정적 의미의 ‘나약한
사람’도 36%나 차지했다.
멘탈 을들에게 상처 주는 ‘멘탈 갑 상사의 유형’에 대해서는 ‘감당 못할 일을 시켜놓고 못하면 분노하는 상사’와 ‘걸핏하면 고성을 지르고 폭언을 하는 상사’ 각각 33%를 차지했다. 이어 ‘부하의 성과를 가로채는 상사’가
21%, ‘일만 시키고, 회식 등 자기 주머니는 풀지 않는 인색한 상사’가 10%로 나타났다.
상사의 골치를 썩이는 멘탈 갑 부하 직원에 대해서는 ’실수와 업무
지시에 대해 아무리 지적을 받아도 끄떡 않는 부하직원’이 31%, ‘상사가
시킨 부당한 업무에 조목조목 따지고 드는 부하직원’이 28%로
나타나 얄미운 부하 대표 유형으로 선정됐다. 이 밖에도 21%의
응답자가 ‘무조건 칼퇴근, 개인 사정을 이유로 회의에 불참하는
부하직원’을, 18%는 ‘업무
능력이 뛰어나지만 자기 할 일만 하고 손해를 안보는 부하직원’이라고 대답했다.
멘탈 갑의 문제점에 이어 ‘멘탈 을’
사원들의 문제점은 본인의 업무에 책임감이 없고 잦은 불평불만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27%가 멘탈 을에 대해 ‘자신이 감당 못할 일을 다 떠안고
나중에 놓아버리는 사람’이라고 평가했고, 26%는 ‘작은 일에도 툭하면 힘들다고 하소연하는 사람’이라고 봤다. 이어 25%는 ‘똑같은
실수를 반복해 어려움을 토로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업무능력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멘탈 갑’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그들의 업무 능력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4%의 응답자가 ‘할
말은 하는 ‘멘탈 갑’이 소통 능력도 뛰어나다’고 대답한 것. 이어 ‘카리스마
있는 ‘멘탈 갑’의 업무 성과가 더 좋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29%였다. ‘소통
능력이 뛰어난 ‘멘탈 을’이 업무 성과가 뛰어나다’, ‘섬세한 멘탈 을이 업무 성과도 좋다’고 응답한 사람은 각각28%, 9%에 불과했다.
이광석 인크루트 대표는 “멘탈 갑들의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을의
전략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은 아닌가 싶다”며 “싫을 때는 싫다고 당당히 말하고, 거절할 때는 정중히 거절할 줄 아는 처세술이 오늘을 사는 지혜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