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정혜전 칼럼리스트]남의 일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사람이 있다. 업무적으로도 사소한 것까지 알려 하는 사람은 같이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능률저하를 시키고 거리감을 두고 싶어지게 만들기도 한다. 하물며 사적인 것까지 알려 든다면 불편함을 떠나 불쾌감을 조장해 ‘기피대상 1호’로 낙인을 찍어버리게 된다.
어떤 회사의 C팀장은 직원들이 영업차 나갔다 왔는지 확인이 안 된다며 만나는 사람 명함이나 회사 사진을 찍어 전송하라 해서 직원들의 반발을 샀다. 반발뿐이 아닌 좋은 인재들이 회사를 떠나가게 만들어 버리기까지 했다.
아무리 업무적 보고형식이라고 하나 이런 상황은 스트레스를 떠나 악감정 유발이 되는 원인이 된다. 팀원 관리 차원이라고 하지만 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말할 것도 없다.
D대표는 직원들의 사소한 것까지 아주 관심이 많아 보이는 사람이다. 직원들이 외근해 돌아오면 누굴 만나 무엇을 먹었는지부터 집안사람들에 대해서나 상황에 대해 꼬치꼬치 묻듯 해서 직원들의 신경이 날카롭게 만들어 버린다.
대표가 차 한 잔 하자고 하면 ‘뭘 물어보려 그러나’ 하는 앞선 걱정에 눈에 띄지 않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한다. 물론 대표입장에서는 직원들의 세세 한 것까지 알아 챙겨주거나 배려해 주고 싶은 마음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직원 입장에서는 지나친 관심이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관심을 지나치게 갖는 것도 불편함을 가질 수 있는데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지나친 관심을 가진다면 유쾌할 수 없는 것이다.
L부장은 사적인 것에도 관심이 많아 알려드는 것뿐이 아닌 들은 말을 그 대로 주변에 흘려 당사자를 곤혹스럽게 만들기까지 한다. “사원 K양이 선을 봤다네”, “R대리 와이프가 유산을 했다네”하면서 어렵게 이야기한 것들을 주변에 흘려 당사자의 마음에 상처를 안겨주기도 한다.
“선을 본 게 무슨 대수로운 일이냐”, “유산을 할 수도 있지, 다른 사람들이 R대리가 힘들다는 걸 알아 배려해 주라고 말한 것인데”하며 당사자 들이 기분 나빠 하는 게 오히려 성격상 문제라 몰기도 한다.
당사자 입장에서는 연애를 못해 봐 선이라도 본 것이 자존심이 상할 수도 있고 유산을 한 것이 아이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던 상황이라 남들이 알게 되는 게 싫을 수도 있다. 그런데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며 상대의 마음을 배려하지 않는 말 전달은 같이 일을 하는 것만 아니라면 관계 청산을 하고 싶다는 악감정을 동반하게 된다.
사적인 것까지 알고 싶어 하는 것도 불편감과 불쾌감을 동반하게 만드는데 그 말들을 주변에 흘린다면 공적인 대화 외에는 대화의 창을 닫고 싶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더구나 사회생활에서 만난 사람들과는 사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는 처세를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기피대상 1호가 되는 것은 뻔하다.
남의 입을 통해 자신의 사적인 것들이 알려지는 걸 즐기는 사람은 없다. 축하받을 일이나 자랑하고 싶은 일이지만 자신이 말하긴 쑥스러운데 남이 대신해 주어 고마울 때도 있다.
그러나 이런 일도 남의 입을 통해 내 이야기가 전해지는 것은 싫다는 완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다. 이런 사람에게는 축하받을 일이나 자랑거리라도 전달해 주는 사람이 곱게 보일 수 없는 것이다.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다지만 상대는 좋은 의도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이 많은 게 사람 관계의 어려움이다. 시간이 남아돌아서인지 남의 일에 유난히 관심이 많아서인지 ‘견제 대상 1호’라는 인상을 전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남의 일에 관심이 유난히 많아 궁금증을 못 참는 성격을 가진 사람을 종종 본다. 그 사람에 대해 알고 싶어서인 경우도 있지만 그냥 모든 것을 알고 싶어하는 성격인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사적인 세세한 것까지 알려드는 것은 좋은 의도로 비추어질 수 없다는 것도 생각해 보자. 또한 들은 이야기들을 남에게 전달하는 개념 없는 사람의 인상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 지나친 궁금증을 다른 관심사로 돌려 보려 노력해 보는 것이 좋다. 듣고 알았다면 그냥 자신만 알고 있는 것으로 담아 두도록 하자. 말 전달도 습관으로 자리 잡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남의 일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사람이 있다. 처음에는 관심을 주는 것에 고마움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사생활적인 부분까지 늘 알려 든다면 경계심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
자신의 사적인 부분을 남이 아는 것을 아주 싫어하거나 사회생활에서 만난 사람들에게는 사적인 이야기는 아껴야 한다는 철학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말이다. 알아도 모른 척 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알려 애를 쓴다는 인상을 준다면 상대는 어떻게 대할지 답은 뻔한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