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조상연 기자]일본의 고졸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분위기다. 심각한 인력난으로 취업 희망자가 ‘갑’인 일본 채용시장에서도 고졸자는 복수 기업에 지원해 회사를 골라가는 대졸자와 달리 입사 지원과정에서부터 차별을 받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 탓이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내년 봄 고교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구인배율은 2.37로 8년 연속 상승세를 보일 전망인데 기업의 고교 졸업생 채용은 16일부터 시작되며 문제는 고졸자의 경우 60년전인 1950년대의 낡은 ‘1인 1사’ 입사지원 제한 규정이 아직도 적용되고 있는 점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사회에서 대졸자 취업에 대해서는 채용시기 철폐 등 여러 가지 개선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고졸자 취업관련 규정 개정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례로 도쿄도내의 한 사립 고교 3학년의 경우 취업희망자는 120~130명인데 기업에서 보내온 구인요청은 1500건 이상에 달했다. 희망자의 10배가 넘는다. 올 봄에는 전국적으로 106만명의 고교 졸업생 중 17%인 18만7000명이 취업을 희망해 18만4000명이 실제로 취업했다. 매년 40만명 가까운 대졸 취업자의 거의 절반이다.
사실 고졸자의 선택지가 넓어져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취업희망자는 교사와 상담해 지원할 회사를 정하고 학교를 통해 입사지원서를 제출하는데 상담 교사가 학생에게 맞을 것 같은 회사 1~2개를 추천한다. 학생들의 응모를 분산시켜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추천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입사원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하면 대부분 합격하지만 일단 내정을 받으면 그 시점에서 취업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불합격하면 10월 이후 2~3개사의 면접에 응시할 수 있지만 여러 기업과 접촉하면서 복수의 기업에서 내정을 받은 후 회사를 골라서 가는 대졸자에 비하면 선택폭이 크게 좁다.
일본에 이런 규정이 생긴 건 고도성장기인 1950년대 중반이다. 인재를 확보하려는 기업과 학생을 취업시키려는 학교, 공부를 우선하려는 문부과학성, 실제보다 좋은 조건을 내걸어 학생을 채용하는 불량기업을 감시하려는 후생노동성 등이 협의해 만든 규정이다.
당시에는 회사 견학을 온 학생에게 현장에서 좋은 조건을 제시하면서 취업을 결심하게 하는 기업도 있어 마구잡이 입도선매를 막기 위해 이런 규정을 정했다고 한다.
이 규정은 일본상공회의소 등의 경제단체와 전국 고교교장협의회, 정부의 3자 합의사항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런 규정에 문제를 제기하는 의견도 나오기 시작했다. 취업 후 3년 이내 이직률이 40%에 달해 30% 전후인 대졸자를 웃도는 입사 후 ‘미스매치’가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학생들은 받아보는 기업의 구인요청서에는 회사 소재지와 직종 정도만 적힌 A4 용지 한장이 고작이라고 한다. 평소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정보를 접하는 고교생들에게 취업활동 관련 정보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도를 통해 지난 4월에 실시한 조사에서 주요 기업의 내년 고졸자 채용계획은 올 봄 채용실적 보다 8.2%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