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업황 악화에...日 도시바메모리, 연내 상장 포기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반도체 대기업 도시바(東芝·TOSHIBA)메모리홀딩스가 연내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반도체 시황이 악화하되면서 실적 개선 조짐이 보이지 않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2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시바메모리는 이르면 올 11월로 예정했던 신주 공모 방식의 도쿄증권거래소 제1부 상장 계획을 연기하기로 했다.

교도통신은 "미·중 무역갈등 영향으로 반도체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가운데 상장에 필요한 준비절차도 늦어져 연내 상장이 어렵게 됐다"고 보도했다.

도시바 측은 기업공개 준비를 계속해 내년 3월까지는 상장을 성사시킬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도시바메모리는 스마트폰과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플래시메모리 시황 악화로 경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6월 중순에는 주력 생산기지인 미에(三重)현 욧카이치(四日市) 공장에서 정전 사태로 일부 생산라인 가동이 1개월가량 중단되기도 했다.

도시바메모리는 일본 내 제2 생산거점으로 이와테(岩手)현 기타카미(北上)시에 짓는 신공장을 연내 가동할 예정이다. 도시바메모리는 기업공개를 통한 신규 조달 자금을 설비투자 확충에 활용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연내 상장 불발로 이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도시바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를 모태로 2017년 출범한 도시바메모리는 원래 올 9월을 목표로 상장을 추진했다가 11월 이후로 한 차례 상장 일정을 늦췄다.

경영 부진에 빠진 모회사 도시바는 지난해 6월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이 주축이 된 한미일 컨소시엄에 도시바메모리 지분 일부를 매각했다. 이 컨소시엄에는 애플, 델 등 미국의 거대 IT 기업 외에 한국 SK하이닉스가 참여했다.

도시바도 약 3500억엔(약 3조8000억원)을 재출자해 40.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3월 지주회사 체제로 바뀐 도시바메모리는 스마트폰 등의 저장매체에 사용되는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한다.

한편, 도시바메모리홀딩스는 올 10월부터 사명을 '기옥시아홀딩스'(Kioxia Holdings Corporation)로, 산하 사업회사인 도시바메모리의 사명을 '기옥시아'로 각각 바꾼다. 기옥시아(キオクシア)는 일본어의 기억(記憶)과 그리스어의 가치(價値)를 의미하는 악시아(axia)를 합친 말이다.

회사 측은 "새 사명에는 플래시 메모리와 SSD 사업 부문의 리딩 기업으로서 현재와 미래를 잇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세계를 바꾸어 나간다는 의미가 담겼다"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