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2022년이 되면 코로나19가 잠잠 해져 활기를 띨 것이라고 예상했던 취업시장에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비상등이 켜졌다.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현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1,372명을 대상으로 취업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6개월 이상 취업을 하지 못한 장기 미취업자 비율은 42.3%로 나타났다. ‘2년 이상’(28.9%), ‘1년~ 1년 6개월 미만’(24.6%)의 비율이 가장 높아 코로나19 이후 취업난이 심각해 졌음을 보여줬다. 이어 ‘9개월~1년 미만’(18.9%), ‘6~9개월 미만’(18.4%), ‘1년 6개월~ 2년 미만’(9.1%) 등의 순이었다.
장기간 취업 준비가 계속 되고 있는 이유로는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채용이 줄어서’(42.1%,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원하는 기업의 채용 경쟁이 치열해서’(25.2%), ‘원하는 기업이 채용을 진행하지 않아서’(23%) 이유가 비등하게 이어졌고, ‘전공 및 직무 전환을 시도하고 있어서’(22.4%), ‘중견기업 이상 규모 사업장에 취업하기 위해’(18.8%), ‘기대소득을 극대화 하기 위해’(15.1%) 등도 있었다.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48.8%)는 올해 신규 채용 환경이 지난해보다도 더 어렵다고 보고 있었다. 지난해보다는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9.5%에 그쳐 긍정적인 미래를 전혀 예측하지 않고 있었다.
취업준비생들이 선호하는 취업 기업은 ‘중견기업’(46.8%, 복수응답)과 ‘중소기업’(45.5%)이 비슷한 수준이었고, ‘공공기관(공기업)(30.5%)’, ‘대기업’(23.5%), ‘스타트업’(15.2%)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대기업도 수시채용 위주로 채용을 진행하고, 직무 역량 및 경력 중심으로 채용 시장이 변모 하면서 무조건적인 대기업 선호 현상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취업은 원하지만 노동시장의 여러가지 이유로 최근 4주 간 구직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구직단념자’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스스로를 현재 ‘구직단념자’라고 밝힌 응답자는 22.1%였다. 5명 중 1명 꼴이다.
이들이 구직활동을 단념한 이유는 ‘계속 구직을 시도했으나, 잘 안되어 잠시 쉬려고’(45.9%, 복수응답)가 컸다. 심화되는 취업난 속에 ‘의욕을 잃고 좌절해서’(40.6%)라는 응답도 많았다. 다음으로 ‘원하는 임금수준/근로조건에 맞는 일자리가 없어서’(36.3%), ‘교육·기술·경험이 부족 한 것 같아서 준비 중’(33.7%), ‘수시채용 중심의 경력채용이 이뤄져서’(17.2%) 등의 이유가 이어졌다.
지난 1년간 취업준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채용기회 축소’(29.4%), ‘취준비기간 동안의 경제적 어려움’(28.4%), ‘경력직 위주의 채용 확대’(27.9%)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