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내년부터 CJ그룹에 입사하는 신입사원들은 빠르면 10년 만에 임원이 될 수 있다.
CJ그룹은 대졸 신입사원이 임원으로 승진하는데 필요한 직급별 진급 체류 연한(승진 연한)을 기존 20년에서 최단 10년으로 줄이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승진 제도를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적용하고 있는 ‘4년(G3:사원)-4년(G4:대리)-4년(G5:과장)-4년(G6:부장)-4년(G7:선임부장)’ 의 승진 연한을 각 직급별로 최소 2년만 근무한 뒤 발탁 승진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것.
이에 따라 입사 후 10년만 거치면 임원 반열에 오를 수 있어 30대 중반의 젊은 임원이 배출될 전망이다. 사원에서 과장급으로 승진할 경우 8년 안팎 걸리던 기간도 4년으로 단축된다.
이번 조기 승진 제도 도입은 기업 문화를 선도적으로 만들어가라는 이 회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이 회장은 “역량 있는 젊은 인재를 조기에 발굴해 맘껏 실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일류 기업 문화”라면서 “연공서열 중심의 틀에서 벗어나 ‘성과와 능력을 발휘한 인재가 인정받는 CJ’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회장은 평소 “내 꿈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사업보다도 좋은 인재를 키우는 것에 있다”며 ‘사람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는 이병철 선대회장의 ‘인재제일(人材第一)’ 경영 철학과 맞닿아있다.
그 동안 CJ그룹에서 발탁 승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각 직급별로 승진 연한을 1년 정도 줄이는데 그쳤으며 승진자는 소수에 불과했다.
지난해 1200명의 대졸 신입사원을 뽑은 CJ그룹은 올해1500명을 채용하며, 내년엔 규모를 1500명 이상으로 늘리는 등 젊은 인재 발굴, 육성에 매진할 방침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승진 제도의 과감한 변화를 통해 그룹의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가 다른 대기업들과 비교해 더욱 차별화 될 것”이라면서 “우수한 젊은 인재를 유인하는 채용경쟁력도 크게 높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