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SK하이닉스[000660]와 네이버[03542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7일 키움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4만7000원에서 5만3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안정적인 D램 수급 덕분에 내년까지 좋은 실적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일각에선 4분기 이후 D램 업황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며 “하지만 D램 산업은 올해 수급 개선이 본격화돼 내년까지 안정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특히 PC용 D램 가격은 올 4분기 상승폭을 키운 후 내년 3분기까지 80% 이상 상승하며 SK하이닉스의 실적 성장을 이끌 것”이라면서 “내년도 실적이 매출은 올해보다 21% 증가한 19조7000억원, 영업이익은 85% 신장한 4조6000억원을 기록하며 큰 폭의 성장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같은 날, 삼성증권은 네이버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 채 목표주가를 94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신규 메신저인 스노우의 이용자 증가에 주목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KJtimes=김승훈 기자]롯데케미칼[011170]과 AK홀딩스[006840]의 3분기 실적에 대해 증권사가 기대를 나타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7일 NH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의 목표주가 55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롯데케미칼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한 6160억원으로 추정된다”며 “환율하락으로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겠지만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기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향후 환율과 원재료 가격 변화에 따라 4분기 이후 실적 증가 여력도 충분하다”면서 “롯데케미칼은 국내외 증설 프로젝트로 제품 출하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실적 개선도 기대요인”이라고 판단했다. 같은 날, KB투자증권은 AK홀딩스에 대해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매수’와 8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3분기 제주항공의 실적 정상화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인한다. 강선아 KB투자증권 연구원은 “AK홀딩스의 올 3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주력 상장 자회사인 제주항공의 호실적으로 매출
[KJtimes=김승훈 기자]우리은행[000030]의 30% 지분 매각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미래에셋증권은 우리은행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5000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은행의 자산 건전성 등 펀더멘털(기초여건) 개선을 감안할 때 저평가와 배당 매력이 돋보이며 하나금융과 함께 업종 최선호주(top pick)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강혜승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매각물량 30% 지분의 3∼4배에 달하는 수준의 투자의향서가 제출된 점은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방식 민영화에 투자자들의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강 연구원은 “민영화된 은행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21.06%의 예금보험공사 잔여 지분으로 주가 상승 혜택을 누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가능하다”면서 “과점주주 매각방식과 관련해 정부의 의지가 크고 투자자들의 의지도 커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우리은행 민영화가 성공한다면 중장기 관점에서 더 나은 지배구조를 보유한 민간은행으로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전반적인 경쟁과 효율성 제고로 우리은행뿐 아니라 금융산업 전반에 호재”라고 평가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위성방송사업자 스카이라이프[053210]와 선데이토즈[123420]에 대해 증권사가 호평가를 내놓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대신증권은 스카이라이프가 꾸준한 가입자 순증을 기록해 주가 상승 여력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특히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40% 높은 UHD(초고화질) 가입자의 증가세에 주목한다고 밝혔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가가 올해 들어 월별 가입자 순증 여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가입자 수는 2012~2013년보다 규모가 줄긴 했어도 순증세는 계속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3000원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UHD 가입자는 전체 순증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월 2만 명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현재 가입자 비중의 6%에 해당하는 UHD 가입자는 연말에 40만 명으로 비중이 9%까지 확대돼 내년 1분기부터는 ARPU의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스카이라이프의 올 2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36%로 계속 하락하고 순현금은 1300억원에 이를 정도로 재무상태도 우량하다”며 “유료방송 시장은 UHD로 급격히 전환 중인데
[KJtimes=김승훈 기자]오뚜기[007310]와 GS리테일[00707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오뚜기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15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3분기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웃도는 양호한 실적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송치호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뚜기는 3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오른 5432억원, 영업이익은 4.0% 증가한 410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는 실적을 올릴 것”이라며 “매출은 신성장 영역인 면 부문이 성장을 이끌겠지만 기존 주력 카테고리인 조미식품이나 소스류는 소폭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 연구원은 “지난해 요리방송 열풍으로 소스류 등의 기존 주력 상품 성장이 높았던 기고 효과 때문”이라면서 “주력 상품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광고 판촉비 지출이 소폭 확대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유안타증권은 GS리테일의 목표주가 7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재무건전성이 평촌몰 매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김태홍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GS리테일은 지난 23일 평촌
[KJtimes=김승훈 기자]우리은행[000030]이 분산 매각으로 오버행(대량 대기 매물) 우려가 크게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KTB투자증권은 우리은행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목표주가를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한편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KTB투자증권은 지난해 우리은행의 주당 배당금은 500원이었는데 이 금액이 유지된다고 해도 현재 주가대비 배당수익률은 4.4%인 만큼 배당성향을 유지한다며 주당 배당금은 600원으로 배당수익률이 5.3%까지 올라간다고 지적했다. 김은갑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3일 마감된 우리은행 매각 입찰에 18개 투자자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했고 이들이 인수 의사를 밝힌 지분을 합하면 82~119%에 달한다”며 “실사와 본입찰 등의 매각과정이 남아있지만 투자자 호응도가 이전 지분매각 때와는 다르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매각 흥행의 원인으로 우리은행의 실적 안정성과 배당 매력을 꼽을 수 있다”면서 “전략적·재무적 투자자들에게 분산 매각되면 오버행 우려가 크게 감소하고 이는 목표주가를 산출할 때 적용하던 할인율을 제외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대
[KJtimes=김승훈 기자]종근당[185750]과 KPX케미칼[02500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3일 유진투자증권은 종근당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6만2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실적이 올해 3분기부터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곽진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종근당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으로 전 분기 대비 46.4% 증가한 155억원을 전망한다”며 “부진한 상반기 대비 개선세를 보이며 시장 전망치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곽 연구원은 “대형 신제품인 뇌기능개선제 글리아티린과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 등의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며 상반기 실적은 부진했다”면서 “3분기부터는 도입 품목의 매출액 증가, 기존 제품들의 두 자릿수 성장 지속으로 매출액이 견조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연구개발(RD) 성과 확인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며 “종근당은 5개의 신약과 1개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신약 후보물질)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 연말에서 내년 상반기 중 임상 진척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같은 날, 메리츠종금증권은 KPX케미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만50
[KJtimes=김승훈 기자]LG이노텍[011070]과 LIG넥스원[07955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대신증권은 LG이노텍의 목표주가를 10만5000원에서 10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기판과 LED 매출 부진으로 올 하반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보다 낮을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대신증권은 주기판(HDI), 터치패널, LED 사업은 경쟁력과 수익성에 초점을 맞춘 재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특히 LED는 대량 생산보다 틈새시장으로 포트폴리오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판·LED 매출 악화와 주 거래처인 LG전자의 스마트폰 판매 부진, 비수기인 4분기의 계절적 특성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 영업이익이 애초 추정치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하지만 전장사업 매출이 내년에 1조원을 넘어서면서 전사 영업이익은 2457억원을 기록,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중장기 관점에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부터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의 차별화는 디스플레이(플렉서블 OLED), 듀얼카메라에 있다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의 올 하반기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NH투자증권은 LG전자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회사의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은 13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3597억원으로 22%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정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휴대전화(MC) 부문이 스마트폰 판매 부진 등으로 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4분기 연결 영업이익도 2718억원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고 연구원은 “4분기 역시 MC 부문이 연결 실적전망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이미 시장에서 컨센서스가 형성된 만큼 새로운 이슈는 아니다”면서 “LG전자 주가는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하락세를 나타냈으나 최근의 주가 조정을 비중축소가 아닌 비중확대 시기를 저울질하는 관점에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의류업체인 한섬[020000]에 대해 증권사가 ‘호평가’를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1일 대신증권은 한섬의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보다 19% 증가한 146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가 지난 19일 공시를 통해 밝힌 중국 진출 전략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섬은 타임과 시스템 등 주력 브랜드의 매출 호조로 3분기 실적이 매우 양호한 성장을 보일 것”이라며 “3분기 매출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많은 1435억원”이라고 전망했다. 유 연구원은 “한섬의 중국 진출은 시스템, 시스템옴므 등 일단 2개 브랜드에 국한되지만 중국 진출에 중요한 첫발을 내디뎠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TIME(타임) 등 타깃 연령대가 높은 고가 브랜드 진출도 시간문제로 보이고 모기업인 현대백화점]그룹이 추진하는 SK네트웍스 인수가 확정되면 패션 사업은 한섬이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NH투자증권은 한섬이 내년 상반기 중국진출을 본격화하고 그룹 내 패션사업 강화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제일기획[030000]과 LG전자[06657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현대증권은 제일기획의 목표주가를 2만2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3분기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를 8만5000원에서 7만5000원으로 내렸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3분기 가전과 TV 부문 선전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 부문이 실적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임민규 현대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한 278억원으로 시장 전망치 평균(308억원)을 하회할 전망”이라며 “올림픽 효과 부재, 경영진단 실시로 인한 일시적 비용 증가, 중국 디지털 마케팅 자회사 펑타이(PENGTAI)의 수익성 감소 등이 원인”이라고 꼽았다. 임 연구원은 “다만 광고를 대행하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7 배터리 결함 사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제한될 것”이라면서 “제일기획이 대행하는 갤럭시 노트 7 해외 프로젝트가 많지 않고 노트 시리즈 광고 예산도 갤럭
[KJtimes=김승훈 기자]KTG[033780]가 올해 3분기 실적 호조와 배당 증가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NH투자증권은 KTG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회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담배 수출 판매 가격 상승 여력이 커 실적 개선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KTG의 3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1974억원, 39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 5.9%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 연구원은 “내수시장에서 담배 수요가 꾸준히 회복해 시장 점유율이 59% 이상에서 유지되고 수출은 예상 수준의 성장을 지속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추석 시즌을 맞아 홍삼 부문도 수요 강세로 호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KTG는 수출 현금 흐름 창출력 대비 투자 요구가 낮은 편이어서 배당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올해 주당 배당금은 지난해와 같은 3400원으로 추정하지만 5년간 평균 배당 성향 53.5%를 적용해 단순 계산하면 4100원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콜마[161890]에 대해 증권사들이 호평가를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메리츠종금증권은 한국콜마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2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인수합병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또 현대증권은 한국콜마에 대해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13만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미국 화장품 시장 진출과 관련한 연결 실적이 4분기부터 인식될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한국콜마는 전날 미국 화장품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회사인 ‘프로세스 테크놀러지스 앤드 패키징’(PTP) 사를 화장품 소싱 및 유통 전문기업인 ‘웜저’와 공동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양지혜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이번 인수로 연간 지배주주 순이익이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 로 시너지 효과를 감안할 때 추가적인 기업가치 확장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양 연구원은 “한국콜마는 유통 파트너사인 웜저를 통한 신규 로컬 고객사 확보 등으로 미주지역 수출 확대에도 큰 도움을 받을 것”이라면서 “차별화된 연구개발(RD) 강점을 바
[KJtimes=김승훈 기자]두산중공업[034020]과 한섬[02000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현대증권은 두산중공업의 목표주가를 3만1000원에서 3만6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자회사들과 관련한 재무위험에서 벗어났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정동익 현대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은 중공업 부문의 탄탄한 펀더멘털(기초여건)에도 불구하고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건설 등 자회사들의 재무위험과 이에 따른 지원 가능성이 주가에 악재로 작용해왔다”고 지적했다. 정 연구원은 “하지만 두산인프라코어의 공작기계 부문 매각과 두산밥캣 기업공개(IPO), 두산건설의 배열회수보일러(HRSG) 매각 등에 힘입어 관련 위험 해소 국면에 들어섰다”면서 “올해 4분기 수주 모멘텀과 하반기 실적 개선, 3% 내외의 높은 배당수익률 등이 부각될 수 있을 것”고 분석했다. 같은 날, HMC투자증권은 한섬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만1000원을 유지하고 동종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중국시장 공략이 주목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송하연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섬이 중국 항저우지항실업유
[KJtimes=김승훈 기자]한샘[009240]이 높은 현금 창출력과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리모델링 시장의 중장기 성장성으로 투자 매력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KTB투자증권은 한샘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회사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22만원을 유지했다. KTB투자증권은 한샘의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경우 각각 4817억원, 390억원으로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사와 혼인건수 감소로 지난해 대비 성장률은 다소 부진하지만 신규 점포 매출 증가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이후에는 입주 단지가 많아 이사 수요가 증가해 인테리어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며 “특히 이사를 앞두고 주로 이뤄지는 부엌 인테리어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개선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연구원은 “리모델링은 물류-시공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샘만의 경쟁력이 있어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