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LG유플러스[032640]에 대해 증권가에서 호평가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는 분위기다. 2일 삼성증권은 LG유플러스에 대해 목표주가를 1만30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LG유플러스의 경우 연결 기준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준 1801억원으로 컨센서스(1764억 원)에는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양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무선사업은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의 감소에도 가입자 성장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유지했고 유선사업은 업계 전반적인 경쟁 완화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세가 확인된다”고 진단했다. 양 연구원은 “기존 예상보다 안정적인 유선사업의 수익성 개선을 고려해 목표주가를 7.7% 상향 조정한다”면서 “비용 통제 의지가 강해지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같은 날, SK증권은 LG유플러스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만4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KJtimes=김승훈 기자]코웨이[021240]와 GS[078930]가 매력적인 배당주로 추천을 받음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2일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코스피 상승으로 가격 부담이 커진 가운데 현재 주가 수준이 매력적인 배당주가 돋보인다며 배당 매력이 큰 배당주 투자전략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코스피200 고배당 종목의 배당수익률과 주가 변동 추이를 파악한 결과 현재 주가 수준 대비 배당수익률이 매력적인 종목으로 코웨이와 GS를 꼽았다. 강송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빠르게 2000선을 돌파하면서 가격 부담을 느끼는 투자자들이 많아졌다”며 “상대적으로 덜 오른 종목을 찾는 수요가 생길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강 연구원은 “높은 배당수익은 주가에 하방 경직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특히 시중금리가 과거 대비 절반 이상 낮아진 상황에서 높은 배당수익이 주는 매력은 과거보다 훨씬 더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는 “코웨이와 GS는 지난달 29일 현재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이 과거 밴드 상단에 근접해 배당 매력이 크다”며 “이는 배당 매력을 감안하면 현재 주가에서 주가 하락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KJtimes=김승훈 기자]메리츠종금증권[008560]과 토니모리[21442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일 신한금융투자는 메리츠종금증권의 목표주가를 4500원에서 5000원으로 높여 잡았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2분기 호실적으로 저력을 증명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손미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메리츠종금증권의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4% 감소한 1092억원으로 집계됐다”며 “지난해 실적이 역대 최대치여서 이익 감소는 불가피했으나 연산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9.4%로 깜짝 수준이었다”고 평가했다. 손 연구원은 “그동안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큰 기업금융 포트폴리오상 부동산 경기 둔화에 따른 수익성 감소 우려에도 지난해 발생한 1000억원의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이익 체력은 오히려 20∼30% 확대된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2분기 실적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대규모 계약과 투자이익 등 일회성 요인이 없었음에도 호실적이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한다”며 “3분기 순이익은 경상적인 수준(분기 500억∼600억원)을 소폭 웃도는 643억원”이라고 전망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아모레퍼시픽[090430]에 대해 증권사들으 전망이 엇갈리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일 SK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이 올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4434억원과 24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7%, 15.6% 증가했으며 다소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지만 럭셔리 화장품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승욱 SK증권 연구원은 “사업 부문별로 화장품은 매출이 15.1% 증가한 9273억원, 영업이익은 12.5% 늘어난 1943억원을 기록했다”며 “차별화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성장이 이어진 가운데 럭셔리 화장품은 온라인과 글로벌 면세 채널 확대에 힘입어 성장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해외에선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173억원, 4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6.4%, 59.6% 늘었다”면서 “설화수는 아시아 대표 브랜드로서 입지가 강화되며 고급 백화점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하는 동시에 온라인몰에서도 판매 호조가 이어졌고 라네즈, 마몽드 등 다른 브랜드도 고루 성장했다”고 진단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대우건설[047040]과 KT[03020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일 대신증권은 대우건설의 목표주가 77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2분기 실적이 시장전망치를 상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선일·정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대우건설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082억원으로 시장전망치인 952억원을 상회했다”며 “해외 부문 실적이 부진했지만 국내주택 부문이 예상보다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면서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이들 연구원은 “하빈기에 국내 부문 성장은 지속되고 해외 부문은 저마진 공사 비중이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면서 “하반기 대우건설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증가한 2256억원”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KB투자증권은 KT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배당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정승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KT는 연간 실적 전망과 자금 활용 계획 등을 고려할 때 주당 배당 금액이 8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며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해상[001450]이 이익의 대폭 증가로 배당수익률 3.1%로 매력적인 수준이며 단기 주가 반등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금융투자는 현대해상의 경우 200%를 훌쩍 넘어선 RBC와 장기금리의 레벨다운을 고려할 때 연말까지 증자 관련 위험이 현대해상 주가의 발목을 잡을 이슈는 사라졌다고 판단했다. 1일 하나금융투자는 현대해상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8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2분기 기대 이상의 실적을 기록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오진원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분기 순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1% 증가한 1071억원으로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950억원 웃돌았다”며 “경과손해율 개선폭이 전분기 1.7%포인트에서 2.2%포인트로 확대됐고 보종별 손해율은 일반 12.5%포인트, 자동차 6.3%포인트, 장기위험 1.4%포인트씩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오 연구원은 “현대해상이 지난 5월 4조8400억원가량 보유하고 있던 만기 보유 채권을 지난 6월 매도가능증권으로 재분류하며 25%포인트의 지급여력비율(RBC) 상승효과가 발생했다”면서 “최근 장기금리
[KJtimes=김승훈 기자]롯데케미칼[011170]이 화학업종 내 ‘최선호’ 종목으로 추천됐다. 29일 동부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해 이같이추전하고 목표주가 42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2분기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한승재 동부증권 연구원은 “롯데케미칼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증가한 6936억원으로 시장 전망치인 5634억원을 크게 상회했다”고 평가했다. 한 연구원은 “나프타 가격 하락으로 3분기는 2분기 대비 실적 둔화가 예상되지만 둔화폭은 크지 않을 것이고 3분기 영업이익은 6243억원 수준”이라면서 “올해 말 이후 롯데케미칼 타이탄의 공장 증설 등으로 인해 연간 이익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같은 날, 현대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한 목표주가를 40만원에서 45만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2분기에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올렸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백영찬 현대증권 연구원은 “롯데케미칼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조4411억원, 693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8%, 9% 증가했는데 이는 최근 상향된 시장 기대치를 크게 넘
[KJtimes=김승훈 기자]대림산업[000210]에 대해 증권가에서 주택부문 실적 개선에 힘입어 올해 2분기에 개선된 실적을 올렸다며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29일 NH투자증권은 대림산업에 대해 목표주가를 10만2000원에서 12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올해 주당순이익(EPS)도 7932원에서 8353원으로 높였다. 삼성증권은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9만원으로 종전보다 21.6% 올려 잡았다. 또 대신증권은 ‘매수’ 의견과 목표가 12만원을 유지했다. 앞서 대림산업은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5600억원, 136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 115.9%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 증시전문가들은 대림산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림산업이 주택 실적 증가와 유화 이익 개선으로 2분기에 깜짝 실적을 냈고 해외 저가 수주 현장의 추가 손실을 반영해도 유화 계열과 주택사업 이익으로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며 “부동산 개발 역량 강화로 가치 평가 매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선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분기 기준 1300억원대 영업이익은 해외 사업 부진에 따른 어닝 쇼크(실적 충격) 발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에 대해 증권사간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현대증권과 NH투자증권은 8조2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삼성증권은 7조6000억원으로 하향조정했다. 29일 현대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목표주가 170만원을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3분기에도 8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김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15% 증가한 8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부품 부문 3분기 영업이익이 D램과 낸드 판매가격 안정 및 출하 증가 등으로 2분기 대비 38% 증가한 3조8000억원에 달할 것이고 부품 부문의 영업이익 비중이 2분기 34%에서 45%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IM(IT모바일) 부문 영업이익도 갤럭시노트7 출시에 따라 평균 판매가격 하락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돼 이번 분기 대비 10% 하락에 그칠 것”이라면서 “전 사업부의 제품 믹스 개선, 생산 효율화 등으로 이익 구조 정상화가 기대되고 올해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17% 증가한 30조8000억원으로 추정돼 3년 만에 30조
[KJtimes=김승훈 기자]기아차[000270]에 대해 증권사들이 호평가를 내놓이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SK증권은 기아차가 올해 3분기에도 영업 부문의 호조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13조4672억원, 7003억원, 7189억원으로 전망하며 영업 부문에서 SUV 중심의 믹스 개선과 재고 소진 효과가 이어지고 영업 외에선 중국 법인이 회복하며 지분법 손익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권순우 SK증권 연구원은 “기아차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4조4500억원, 7709억원이었고 당기순이익은 8275억원을 기록했다”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출하량은 4.7% 줄었지만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6.1%, 18.5%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권 연구원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중심의 믹스 개선과 신차 비중 증가에 따른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더불어 재고 소진의 효과가 외형과 수익성에 크게 기여했다”면서 “통상임금이라는 불확실성은 존재하지만 개선세를 보이는 본업과 실적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같은 날, 유안타증권은 기아차의 목표주가 6만원을 유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물산[028260]과 풍산[103140]의 목표주가가 ‘상향조정’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8일 현대증권은 삼성물산의 목표주가를 16만원에서 17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실적 안정화로 지배구조 프리미엄이 재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삼성물산은 올해 2분기에 예상치를 웃도는 양호한 실적을 냈다”며 “건설 부문 실적이 정상화됐고 종합상사, 리조트, 바이오 부문 실적도 개선되기 시작했다는 점이 중요 시사점”이라고 평가했다. 전 연구원은 “분기마다 1500억∼2000억 수준의 영업이익이 달성 가능한 수익 구조를 보여줄 것이고 자체 사업 기업가치를 상향 조정해 목표주가에 반영했다”면서 “삼성물산의 실적이 안정되는 가운데 지주사 프리미엄도 다시 적용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현재 야당에서 내놓은 지주회사 전환 규제 강화 논의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든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려는 움직임은 삼성그룹을 포함해 많은 기업에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풍산의 목표주가를 3만3000원에서 3만9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도 ‘보유’에서 ‘매수’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미포조선[010620]과 LG디스플레이[0342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8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현대미포조선의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0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2분기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기록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양형모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미포조선은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8.1% 증가한 741억원을 기록했다”며 “이는 시장 컨센서스가 425억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깜짝 실적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양 연구원은 “수익성이 양호한 선박 비중이 높아졌고 재료비를 절감해 실적이 개선된 것이고 공정 안정화와 비용 절감 노력으로 인한 실적 개선이기 때문에 지속 가능하다”면서 “하반기에 수주가 늘어나면 벨류에이션(가치평가)을 다시 조정해 목표주가를 상향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3만원에서 3만8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실적이 패널 가격 상승과 수급 개선 등으로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매출액의 경우 전 분기
[KJtimes=김승훈 기자]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이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턴어라운드(실적 개선)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SK증권은 신세계인터내셔날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내년부터는 전 사업부의 정상 영업 실적이 반영되면서 기업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은애 SK증권 연구원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409억원과 5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59.1% 증가해 시장 기대치인 2379억원과 34억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며 “2분기는 실적 턴어라운드의 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연구원은 “적자 사업부이던 국내 브랜드가 ‘살로몬’의 철수 마무리로 2분기에 흑자 전환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기존 흑자전환 예상 시점인 3분기보다 이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아웃렛인 ‘신세계사이먼’의 경우 지난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기저효과를 3분기까지 볼 수 있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자주’는 컨설팅 관련 비용이 늘었음에도 계속 외형을 확대하면서 높은 수준의 마진을 유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SK하이닉스[000660]와 한국항공우주[04781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3만8000원에서 4만2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하반기 이후 실적을 점진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경우 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0% 감소한 3조9400억원, 영업이익은 67.0% 줄어든 4530억원을 기록했는데 최근 낮아진 시장기대치인 영업익익 4500억원에는 부합했다고 밝혔다.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메모리 수요 회복으로 매출이 성장했지만 2분기 중반까지 계속된 메모리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평균판매단가(ASP)가 낮아져 수익성이 부진했다”며 “최근 안정세에 접어든 메모리 가격과 낸드 수요 증가를 감안해 SK하이닉스의 내년 실적 추정치를 상향하고 목표주가도 올린다”고 설명했다. 어 연구원은 “3분기에는 매출이 2분기보다 1.8% 늘어난 4조원, 영업이익은 13.8% 증가한 5160억원을 달성하면서 수익성 반등에 성공할 전망”이라면서 “3분기 성수
[KJtimes=김승훈 기자]LG생활건강[051900]에 대해 KTB투자증권과 SK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7일 KTB투자증권은 LG생활건강의 목표주가를 120만원에서 130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면세점 채널 매출이 예상보다 강한 호조를 보였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LG생활건강은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5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매출액은 3조732억원으로 17.6%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3200억원으로 32.6% 증가했다. 김영옥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화장품 부문의 면세점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6.6% 증가해 전망치를 상회했다”며 “고급 제품의 판매 비중 확대가 이익률 개선으로 귀결되면서 전사 실적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LG생건의 고급 제품 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4%포인트 증가했다고 이에 따라 화장품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2.6%포인트 개선된 18.6%를 기록했다”면서 “‘숨’의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 증가율이 122%로 월등히 높은 가운데 ‘후’의 중국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