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철강과 알루미늄·구리 제품의 품질 데이터 조작이 적발돼 파문을 일으킨 일본 고베(神戶)제강의 가와사키 히로야(川崎博也·63) 회장 겸 사장과 가네코 아키라(金子明·63) 부사장 등 최고경영진이 사임한다. 고베제강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 5일 이사회에서 두 사람이 4월 1일자로 사임하는 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자진 사퇴 방식이지만 사실상 문책성 퇴진이다. 두 사람은 오는 6월 주주총회에서 이사에서도 물러날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사장은 추후 열리는 이사회에서 결정하게 된다. 고베제강은 경영진 교체를 통해 품질 부정 사태의 재발을 막고 경영혁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고베제강은 길게는 40~50년 전부터 철강 등의 품질 데이터를 조작해 판매한 것이 지난해 하반기 들어 내부 증언으로 적발됐다. 고베제강측은 이날 동시에 발표한 품질데이터 조작 최종 보고서를 통해 "조작된 품질을 토대로 납품을 한 기업이 지금까지 파악됐던 525개 이외에 163개가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야구대표팀이 선동열 국가대표 야구대표팀 전임 감독에게 2019년 3월 양국의 평가전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일본 오키나와 현에서 열리는 우리나라 프로팀 간 연습 경기를 참관 중인 선 감독은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나바 아쓰노리 일본대표팀 감독이 사무라이(侍) 재팬 사무국을 통해 내년 3월께 한국과 일본의 평가전을 제안해왔다"고 소개했다. 일본대표팀은 3∼4일 일본 나고야 돔과 오사카 교세라 돔에서 호주대표팀과 평가전을 치러 2연승 했다. 18이닝 동안 호주 타선에 단 1점도 안 주고 모두 완봉승 했다. 선 감독은 3일 평가전을 보고 오키나와 현으로 옮겼다. 선 감독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치르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내년 말 프리미어12가 열리기 전 한국과 일본이 정규리그 개막 전인 3월께 평가전을 치르자는 제안으로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만하다"고 했다. 이나바 감독이 한국에 이런 제안을 한 것은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싶어서다.' 선 감독은 "호주와 대결하다 보니 일본 선수들이 긴장을 조금 덜 하는 것 같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아무래도 라이벌인 한국과 경기를 하면 선수들이 좀 더 집중하고 경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방위성이 2030년께부터 퇴역할 항공자위대의 전투기 F-2 후속 사업과 관련해 자체 개발을 포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5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방위성은 향후 국제 공동개발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미국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인 F-35A를 추가 구매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항공자위대에 약 90대가 있는 F-2 전투기는 미·일이 공동개발한 것으로 2000년도에 도입됐다. 일본은 자국 주변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F-2 후속기 문제를 중요과제로 삼고 있다. 방위성에선 그간 자체 전투기 기술 보유를 위해 국산개발 방안도 검토했지만, 재무성이 거액의 비용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는 등 상황이 여의치 않자 2019년도 예산 요구안에 관련 비용을 보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성은 국제 공동개발을 중심으로 검토를 추진, 연말에 마련할 차기 중기방위력정비 계획의 해당 기간(2019~2023년도) 내에 이러한 개발 방침을 포함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본은 이미 F-4 후속 전투기로 미국의 F-35A 42대를 조달하기로 한 바 있다. 아사히는 "F-2 후속기도 동맹국인 미국의 의향을 무시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국민의 69.1%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일하는 방식 개혁' 관련 법안에 대해 "이번 (정기) 국회에서 통과시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지난 3~4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번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한다"는 대답은 17.1%에 그쳤다. 아베 총리는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하는 방식 개혁의 국회'가 될 것이라며 관련 법안 통과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개혁 관련 법안에 포함된 재량노동제도 확대와 관련, 후생노동성이 2013년 시행한 기초조사 자료가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자 아베 총리는 이번 국회에서 추진할 법안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최근 밝혔다. 교도통신 조사에서 이러한 정부 방침에 대해 60.9%가 당연하다고 답했다. 또한, 현행 헌법 9조에 자위대 존재를 명기해야 한다는 아베 총리의 개헌 방안에 대해선 반대(48.5%) 의견이 찬성(39.2%) 보다 많았다. 여당인 자민당은 올해 당 기본운영 전략 격인 운동방침에 "개헌안을 만들어 개헌 실현을 지향한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개헌에 대해서도 여론을 얻기가 쉽지않은 상황이다.…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정부가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대형 크루즈선을 호텔 대신 사용하는 '여객선 호텔'이 가능하도록 관련 법 정비를 추진한다고 요미우리신문이 5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의 숙박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쿄도(東京都), 지바(千葉)와 가나가와(神奈川) 현에 있는 부두 5개소를 여객선 호텔의 정박항으로 지정할 방침이다. 현행 출입국관리법상 외국인 승무원의 상륙기한은 원칙상 7일로 정해져 있지만, 법무성 성령(省令)을 개정해 이를 연장하는 등 관련 법을 정비할 계획이다. 일본 내에선 그간 여객선을 숙박시설로 활용한 사례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방안이 확정되면 대형 크루즈선을 운항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참가업체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는 5일 핵실험을 할 경우 대기 중에 방출되는 방사성물질 관측을 아오모리(靑森)현 무쓰시에서 시작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는 북한에 의한 핵실험 감시 강화를 위한 목적이다. 앞서 이 기구는 홋카이도(北海道) 호로노베초(幌延町)에서도 지난 1월부터 방사성물질 수치를 측정하고 있다. 기구에 따르면 무쓰시에 설치된 시설은 핵 실험 시 방출되는 크세논을 측정하는 것이다. 앞으로 1년간 대기 중 크세논 수치 변동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일본에는 이 두 곳 이외에도 군마(群馬)현 다카사키(高崎)시에도 핵실험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성물질 관측 시설이 설치돼 있다.
[KJtimes=김현수 기자]국내 연구진이 고온의 열을 견뎌야만 하는 핵심 부품 소재를 3차원(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산화물 분산강화(ODS·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합금 신기술을 세계에서 처음 구현했다고 5일 밝혔다. 산화물 분산강화 소재는 내열이 필요한 모든 금속 재료에 고온에 강한 산화물을 섞어 만든 합금이다. 비행기 엔진, 원자로 부품, 가스 터빈, 미사일 노즐 등과 같이 고온 강도와 내열성이 필수적인 산업에서 핵심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기존 기술은 금속과 산화물을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혼합한 후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을 거친다.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초기 재료 단계에서 강화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데도 적잖은 어려움이 있었다. 원자력연구원 신기술은 최종 제품을 만든 후 제품 금속 표면에 산화물 입자를 바르고 3D 프린터 레이저 열원으로 금속을 녹인다. 이와 동시에 산화물 입자를 혼합·냉각해 금속 내부에 내열 층을 만들어내는 게 핵심이다. 산화물 입자를 금속 내부에 고루 분포시키면서 가공…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관세’ 발언에 바짝 긴장하면서 대책 마련에 부심하는 분위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철강·알루미늄 등에 대해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2일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경제산업상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 측의 구체적인 대응 조치를 파악해 가면서 대책 마련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어디가 대상국이 될지를 포함한 조치의 전모가 명확하지 않지만 대상을 확인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 게 그것이다. 그는 이 자리에서 또 일본이 미국의 착실한 동맹국인 만큼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동맹국인 일본의 철강·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안보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하며 이를 미국에도 전달할 것이라고 설명한 것이 이를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무상과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경제재생상도 대책마련에 부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노 외무상은 아직 미국 정부가 정식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동맹국인 일본제 철강 수입이 미국 안보에 방해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세계무역기구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닛산(日産)자동차가 자본제휴 관계인 프랑스 르노와 다음달부터 신차 공동개발에 나서는 등 제휴관계를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2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카를로스 곤 닛산 회장은 전날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런 방침을 밝혔다. 닛산, 르노 이외에 미쓰비시(三菱)자동차도 신차 공동 개발에 참가한다. 미쓰비시자동차는 연비조작 문제가 불거지면서 경영 위기에 빠진 2016년 5월 닛산에 인수됐다. 곤 회장은 르노 최고경영자(CEO) 및 미쓰비시자동차 회장도 맡고 있다. 이들 회사의 공동개발은 지금까지는 엔진 등 일부 분야를 대상으로만 이뤄졌다. 곤 회장은 "그동안 완성차 기준으로서 공동개발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여기에 변화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완성차 개발 단계부터 공동 작업에 나서겠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다만 차량 성능이 거의 같더라도 3사는 디자인 등에서 차별화를 하는 전략을 펼칠 방침이다. 닛산자동차는 1990년대 후반 경영 위기에 빠지면서 사실상 르노 산하에 편입됐다. 현재 르노는 닛산에 43.3%, 닛산은 르노에 15%의 출자를 하고 있다.
[KJtimes=조상연 기자]지난 1월 일본 실업률이 2.4%로 떨어지며 24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속된 경제 호황 여파인 것으로 분석된다. 2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일본 1월 실업률은 2.4%로 전월(2.7%)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993년 4월 2.3%를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며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8%보다도 훨씬 낮다. 일본 실업률은 지난해에도 5월 3.0%에서 11월 2.7%로 하락하며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하락세를 보였다. 이 같은 하락세는 일본 경제가 8분기 연속 성장세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은 경제 거품기인 1980년대 후반 이후 최장기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구직자 대비 구인자 비율을 의미하는 유효구인배율은 1월 1.59로 44년 만에 최고치였던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구인난이 심해졌음을 뜻한다.
[KJtimes=권찬숙 기자]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금융완화 관련한 출구전략에 대해 "2019년께는 검토할 것임이 틀림없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2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연임 인사안이 국회에 제출된 구로다 총재는 이날 중의원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구로다 총재는 "정부와 연대하면서 디플레이션 탈피를 위한 움직임을 지원, (물가상승률 2%의) 목표 실현을 위한 총마무리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며 "'물가 2%' 목표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정책을 운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3년 3월 취임한 구로다 총재는 물가상승률 2% 목표 달성을 내걸고 같은 해 4월 시장에 대규모로 돈을 푸는 금융완화 정책을 실시했다. 그 이후에도 추가 완화 조치를 함으로써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를 뒷받침했지만, 물가상승률 목표는 아직 실현하지 못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4월로 임기가 만료되는 구로다 총재를 연임시키는 인사안을 지난달 국회에 제출했다.
[KJtimes=권찬숙 기자] 일본 기업들의 벤처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2일 보도했다. 재팬 벤처 리서치의 서베이에 따르면 일본의 민간 스타트업들은 지난해 총 2천710억 엔(약 2조7천680억 원)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의 636억 엔과 비교하면 4배가 늘어난 것이다. 또 다른 리서치 회사인 리코프에 따르면 도요타와 소니를 비롯한 일본 기업의 벤처캐피털이 지난해 709억 엔을 벤처 기업들에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의 12억 엔과 비교하면 거의 60배로 늘어난 것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이처럼 벤처 투자가 팽창한 것은 일본 기업들이 디지털 혁신의 물결을 따라가기 위해 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들을 예의 주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간판 기업인 소니는 2016년에 100억엔 규모의 벤처 캐피털 펀드를 조성해 로봇과 인공 지능 분야의 14개 스타트업에 출자했다. 도요타 연구소는 지난해 1억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펀드를 설립하고 이 펀드를 통해 자율주행차와 로봇 분야 스타트업들의 펀딩에 참여했다. 최근의 벤처 투자 사례로는 파나소닉이 커넥티드 가전 분야의 스타트업에 투자할 목적으로…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의 산업경제시장이 불안하다. 1월 생산과 소비 지표가 나란히 추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경기 확장에 따른 해외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18년 생산이 확대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엔화가 더 강세를 보이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지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8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달 산업생산 예비치가 전월보다 6.6%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2.7% 증가했으나 전문가 예상치(5.3%)보다는 저조한 것이다. 지난해 10∼12월 국내외 수요 회복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던 산업생산은 새해 첫 달 급감하게 됐다. 1월 소매판매도 전월보다 1.8% 줄며 전문가 예상치(-0.6%)를 밑돌았다. 지난해 12월에는 0.9% 늘었지만 이번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1.6% 증가했으나 예상치(2.4%)에 이르지는 못했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이와 관련 자동차 생산이 미국 판매 부진 탓에 감소했으며, 건설장비와 반도체 생산도 줄어든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면서 일본의 소비 지출이 올해 어느 정도 기세를 잃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라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도쿄 빅사이트에 LS산전이 모습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LS산전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에너지 전시회 ‘월드 스마트 에너지 위크 2018’에 참가했다. 28일 이날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LS산전은 역대 최대인 16.2개 부스 규모로 참가해 지난해 일본 홋카이도에 준공한 치토세 메가솔라 발전소, 합천댐·청풍호 수상 태양광 사업 등 국내외 대표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일본 시장에 최적화된 전력기기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러면 LS산전이 이번 행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LS산전의 목적은 태양광을 비롯해 ESS(에너지 저장장치), DC/AC(직류/교류) 전력 솔루션 등 신재생 발전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토털 솔루션을 앞세워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서기 위한 것이다. 한편 LS산전은 올해 신재생 발전시스템 시장 공략에 주력한다는 전략에 따라 2014년 참가 이후 4년 만에 ‘스마트 그리드 엑스포’에서 ‘PV(태양4광) 시스템 엑스포’로 자리를 옮겨 눈길을 끌었다. PV 시스템 엑스포는 월드 스마트 에
[KJtimes=조상연 기자]지난해 일본 내 만화책 단행본 판매액이 처음으로 전자판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NHK는 일본 출판과학연구소가 지난해 일본에서 출판된 만화 단행본 판매액을 집계한 결과 종이 만화책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1666억엔(약 1조6765억원)으로, 전자판은 같은 기간 17% 증가한 1711억엔(약 1조7218억원)으로 집계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종이와 전자판을 포함한 총 만화 단행본 판매액은 3377억엔(약 3조3983억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종이 만화책 판매액이 위축된 것은 인기 작품이 잇따라 완결됐지만 히트작품이 그만큼 나오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자판은 무료나 할인 캠페인 등으로 이용자가 늘면서 기존 완결 작품을 중심으로 판매액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한편 일본제지연합회는 앞서 올해 종이 수요가 지난해보다 2% 감소한 1438만t 규모로 사상 최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예상대로라면 일본 내 종이 수요는 12년째 감소하는 것으로 최고치에 달했던 2006년과 비교하면 26% 감소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