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에쿠스, 美에서 아우디 벤츠 제쳤다

럭셔리카 부문 1위…아반떼, 쏘나타, 스포티지R, 쏘렌토R 등 총 5개 차종도 부문별 1위

 

 

[kjtimes=견재수 기자] 현대차의 에쿠스가 미국에서 가장 가치 있는 자동차로 평가 받았다.

 

현대·기아차는 미국의 자동차 전문 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직비전(Strategic Vision)’가 최근 발표한 종합 가치 평가(Total Value Awards)’에서 에쿠스가 평가차종 중 가장 높은 점수인 839점을 받아, ‘가장 가치 있는 차에 선정됐다고 9() 밝혔다.

 

또한, 현대차의 쏘나타와 아반떼가 중형차(Mid-Size Car)’소형차(Small Car)’ 부문에서, 기아차의 스포티지R과 쏘렌토R소형 SUV(Entry Utility)’중형 SUV(Mid-Size Traditional Utility)’ 부문에서 1위에 선정됐다.

 

이번 스트래티직비전종합 가치 평가20119월부터 20126월까지 신차를 구입한 고객 77,153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보유 차량의 품질신뢰성 중고차 가격 보증정책 등 품질과 고객 만족 등 전반적인 차량 가치에 대해 조사해 1,000점 만점으로 환산, 차급별로 고객에게 가장 높은 가치를 주는 차를 선정했다.

 

23개의 차급별로 진행된 이번 평가에서 에쿠스는 839점을 기록, 아우디 A8, 재규어 XJ, 벤츠 CLS 등 해외 럭셔리 브랜드들을 제치고 럭셔리카(Luxury Car)’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에쿠스가 기록한 839점은 전체 조사 대상 차종인 약 350여개의 모델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해 고객들에게 가장 높은 가치를 주는 차로 선정됐다.

 

중형차 부문에서는 현대차 쏘나타와 기아차 K5가 각각 824점과 794점을 받아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퓨전 등을 제치고 나란히 1,2위를 기록했으며, ‘소형차 부문에서는 아반떼가 806점을 기록해 혼다 씨빅, 마쯔다의 마쯔다3 등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소형 SUV’ 부문에서는 기아차의 스포티지R776점을 받아 혼다 CR-V, 폭스바겐 티구안 등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으며, ‘중형 SUV’ 부문에서는 기아차의 쏘렌토R776점을 획득해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소형 SUV’ 부문에서는 상위 6개 차종 중 1위를 기록한 스포티지R과 함께 현대차의 싼타페와 투싼ix 등 현대·기아차의 3개 차종이 선정돼 강한 면모를 보였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스트래티직 비전종합 가치 평가는 고객들의 직접적인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그 가치가 높다, “현대·기아차는 소형차부터 고급차에 이르기까지 품질, 기술력 및 편의사양에 있어 세계적인 프리미엄 모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고 말했다.

 

스트래티직비전는 소비자 구매 만족도 조사 및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로 1972년 설립됐으며, 1995년부터 매년 자동차 구매 고객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종합 품질상(Total Quality Awards) 및 종합 가치상(Total Value Awards)를 발표하고 있다. 同社의 조사결과는 실제 구매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는 조사라는 점에서 미국 자동차 구매 고객들에게 차량 구입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