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대기업 사장되려면 30년 걸린다...평균 나이 59.1세

[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대기업에서 신입사원이 최고경영자(CEO)가 되기까지는 약 30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국내 100대 기업에 재직 중인 사장급 이상 비오너 경영인 163명 중 공채 출신은 전체의 74.8%인 122명, 비공채 출신은 25.2%인 41명에 달했다.

 

이들의 현재 평균 나이는 59.1세였으며 공채 출신 경영인은 평균 58.5세, 비공채 출신은 평균 59.3세였다.

 

공채 출신 경영인은 평균 25.1세에 처음 회사에 입사한 뒤 45세에 임원(이사대우 혹은 상무보)에 올랐고 55.5세에 사장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사원에서 임원이 되는 데는 평균 19.9년, 임원 승진 후 사장까지 10.5년이 소요됐다. 신입사원에서 사장까지 오르는 데 평균 30.4년이 걸린 셈이다.

 

조사 대상 경영인 중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이 최연소로 사장이 됐다.

 

이 회장은 1965년 26세에 삼성그룹에 입사한 뒤 10년 만에 임원이 됐고, 다시 3년 만인 1978년 제일모직 사장에 발탁돼 입사 13년 만인 39세에 사장 자리에 올랐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서울사대부고 선배인 그는 제일제당 사장, 삼성항공 사장, 삼성생명 사장, 회장비서실장(부회장), 삼성생명 회장을 거치는 등 삼성그룹에 몸담은 48년 동안 35년을 최고경영자로 일했다.

 

김경배 현대글로비스 사장은 1990년 현대정공에 입사한 뒤 19년 만인 2009년 현대글로비스 부사장(대표이사)에 발탁됐고 2012년 사장이 됐다.

 

장원기 삼성전자 사장(중국담당)은 입사 23년 만인 2004년 에스엘시디 사장에 올랐고, 안승권 LG전자 사장은 25년 만인 2007년 말 LG전자 사장(MC사업본부)으로 승진했다.

 

비공채 출신 사장급 이상 경영인은 평균 45.6세에 회사에 입사한 뒤 10.2년을 재직하다 평균 55.8세에 사장에 올랐다.

 

비공채 출신 경영인의 전직은 국내기업(19명), 외국기업(6명), 연구원(5명), 고위 공무원(4명), 판사·검사(2명), 군인(1명), 언론인(1명) 등이었다.

 

공채와 비공채를 통틀어 전체 경영인의 학력을 보면 학사 출신이 102명,석사 출신이 36명, 박사 출신이 24명이었다. 고졸은 조성진 LG전자 사장 1명뿐이었다.

 

조 사장은 용산공고를 졸업한 뒤 1976년 20세의 나이로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에 입사한 지 37년 만에 사장에 올라 '고졸 신화'의 주인공이 됐다.

 

비공채 출신 경영인은 41명 중 석사와 박사 학위 소지자가 27명으로, 전문가 출신 보강 차원에서 영입돼 최고경영자에 오른 경우가 많았다.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은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뒤 KAIST 석사와 스탠퍼드대 박사 과정을 거쳐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하다 1985년 미국 삼성반도체연구소에 입사했다.

 

그는 1991년 이사로 승진했고 2004년 사장(시스템LSI사업부), 2012년 대표이사 부회장에 올랐다.

 

전체 163명 가운데 출신 고등학교는 경기고가 17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고 13명, 경복고 11명, 중앙고 9명, 경북고 7명 등이었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 69명, 연세대 22명, 고려대 21명, 한양대 10명, 한국외대 8명 등이었다.

 

전공은 경영학이 36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제학과 화학공학이 11명이었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⑤]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돗투돗, 제품 불량 논란에 댓글 차단까지… 고객들 ‘부글부글’
[kjtimes=견재수 기자] 유아용품업체 돗투돗(대표 송영환)이 제품 불량 논란에 휩싸이며 고객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고객들이 올린 제품 관련 댓글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관련 고객들을 차단하면서 마치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버젓이 물건을 팔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고객들은 30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이 같은 내용을 하소연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게시글과 댓글들이 차단되면서 맘스홀릭에 대한 불만도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14일 유아용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연맹에 의류심사를 의뢰했다’는 글을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올리면서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의뢰인이라고 밝힌 A씨는 돗투돗에서 거즈 블랭킷을 구입한 다른 소비자가 베란다 창문으로 제품을 흔들어 털자 먼지가 심하게 발생하는 동영상을 보고 한국소비자연맹에 불량성 의뢰를 맡기게 됐다고 글을 시작했다. A씨는 “맘카페에 올라온 먼지털이 영상을 보고 의구심이 들어 돗투돗 측에 몇 가지 문의를 했지만 입장을 밝히면서 올린 인증서 피드가 잘 보이지 않았다”면서 “불안할 바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