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자위대는 18일에도 전날에 이어 공중과 지상에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가운데 방사능을 가장 많이 내뿜고 있는 3호기의 냉각 작전을 계속한다.
18일 아사히신문과 NHK방송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자위대는 후쿠시마 제1원전 3호기의 사용후 핵연료 보관 수조를 냉각시키기 위해 헬리콥터 4대를 투입해 이날도 바닷물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상에서도 바닷물 주입을 계속한다. 자위대는 소방차 11대를 3호기 건물 주변에 배치해 80m 밖에서 바닷물을 투입하기로 했다.
자위대는 정부의 지시가 떨어지는 대로 지상과 공중에서 바닷물을 투입하기로 하고 대기 중이다.
육상, 해상, 항공자위대는 17일 소방차 5대를 동원해 30t, 헬리콥터 2대로 4차례에 걸쳐 30t 등 모두 60t의 물을 투입했다.
원자로와 사용후 핵연료의 냉각을 위한 자위대의 물 투입 후 도쿄전력은 "일정 효과가 있었다. 계속적이고 파상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물 투입 후에도 3호기 주변의 방사능 유출량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기로 바닷물을 투입하는 작전에 참여했던 자위대원 19명은 착륙 후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으나 피폭량은 1밀리시버트 이하여서 건강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냉각기능 회복을 위한 전원복구 작업은 당초 1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본격적인 작업은 19일 이후로 연기될 전망이다.
도쿄전력은 320명을 투입해 17일 오후 케이블 점검을 마친 데 이어 각 원자로 건물 내부의 회선에 전원을 접속하는 작업을 해야 하지만 고농도 방사능이 계속 누출되고 있어 가능한 작업 방법을 현재 검토 중이다.
전원기능이 회복되면 제1 원전의 각 발전소의 긴급노심냉각장치(ECCS)를 가동해 원자로 냉각 기능을 정상화할 수 있지만 원자로 건물 내 작업상황이 여의치 않아 성공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
도쿄전력은 2호기를 시작으로 1호기와 3호기, 4호기 순으로 송전 복구 공사를 전개한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은 1호기부터 5호기가 모두 전원을 상실했고 6호기는 비상용 디젤발전만 가동되고 있어 이를 5, 6호기의 사용후 연료 보관 수조로 공급하고 있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