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 올해 상반기 현대기아자동차의 내수 점유율이 70%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이 70% 이하로 내려간 것은 7년 만으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수입차 공세가 가장 큰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6월까지의 국내 자동차 신규 등록 기준으로 현대차[005380]와 기아차의 점유율은 각각 42.7%와 26.8%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사 점유율을 합하면 69.5%로 지난 2007년 상반기 이후 7년 만에 70%를 밑도는 점유율을 기록한 것이다. 당시 현대차와 기아차의 점유율은 각각 48.2%와 20.8%로 양사 합이 69.0%였다.
이후 2008년 상반기기 71.7%의 점유율을 기록한 양사는 2009년 78.0%을 기록하며 최고점을 찍었다. 2010년 상반기 72.0%로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2011년 73.8% 2012년 75.0%로 다시 상승곡선을 그렸다.
그러다 지난해 상반기 71.7%를 기록하며 다시 하락했고 올 상반기 70% 이하로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의 점유율 하락이 최근 급성장한 수입차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로 인한 점유율 공백을 다시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이다.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의 점유율은 2007년 4.5%에 불과했다. 당시 수입차 점유율은 현대기아차는 물론 GM대우(11.1%), 르노삼성자동차(9.3%), 쌍용자동차(4.9%) 등 국내 완성차 제작업체의 신규 등록 기준 점유율보다도 낮았다.
하지만 지난 2008년 상반기에 5.7%를 기록하며 전년 보다 성장하기 시작했고 2009년 5.1%, 2010년 6.2%, 2011년 7.1%, 2012년 8.0%, 그리고 지난해 10.5%를 기록했다.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 잠시 주춤한 것을 제외하면 해마다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12.4%까지 치솟으며 2007년과 비교해 무려 3배 가까이 급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한국GM과 쌍용차 르노삼성 등 3사의 올 상반기 점유율이 17.1%로 축소된 것과 비교하면 수입차의 비중이 급격히 팽창한 것이다.
이 같은 수입차 점유율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국내 자동차산업 기반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를 보이고 있다. 또한 현대기아차의 내수점유율이 70%를 재탈환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수입차는 사치품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연비와 성능 면에서 우수한 디젤과 중소형급 차량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며 “그동안 과점적 위치에 있던 현대기아차가 급성장하고 있는 수입차와의 경쟁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