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자동차열전] 16일 출시된 ‘NEW 푸조 308 SW’, 유럽서 이미 10만대 이상 판매

[kjtimes=견재수 기자] 푸조가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 수입차 시장에 ‘New 푸조 308 SW’를 출시하며 판매력 제고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제네바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전 세계 시장에서 이미 10만대 이상 판매고를 올릴 정도로 검증된 모델이라 다른 수입차 브랜드들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푸조의 공식 딜러인 한불모터스가 지난 16일 공개한 ‘New 푸조 308 SW’SUV와 해치백의 장점을 고루 갖춘 스마트 에스테이트 모델로 제네바모터쇼에서 ‘2014 올해의 차(Car of the year 2014)’에 선정되기도 했다.

딜러사는 ‘New 푸조 308 SW’가 푸조 특유의 실용적인 공간 활용과 민첩하고 파워풀한 주행성능, 직관적인 주행을 돕는 인테리어 환경 등이 돋보이는 스마트한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트렁크 용량은 총 660L이며, 2열 시트를 접으면 최대 1,775L까지 공간이 확보되고 유로6 기준을 만족시키는 2.0 Blue HDi 디젤 엔진은 강력한 힘 자랑한다, 아이-콕핏(i-Cockpit)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더욱 스마트하게 차량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와주도록 설계됐다.

 

가장 스마트한 면은 PSA 그룹의 새로운 플랫폼인 EMP2(Efficient Modular Platform 2)를 적용하고, 경량 소재를 사용해, 이전 모델 대비 최대 140kg의 무게 감소를 이뤄낸 경량화의 혁신 속에 숨어 있다는 분석이다.

 

전장(4,585mm)과 전폭(1865mm)은 이전 세대에 비해 각각 85mm, 50mm로 늘어나고, 전고(1470mm)85mm 가량 줄여 보다 날렵하고 균형 있는 모습을 갖췄으며 휠베이스는 2730mm로 이전 세대에 비해 120mm를 늘려 공간이 여유롭다.

 

SUV와 세단의 장점을 고루 갖춘 차량답게 최근 늘고 있는 야외 활동에도 공간을 넉넉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트렁크 용량은 해치백 모델보다 190L가 더 넓은 660L이며, 손쉽게 작동되는 원터치 버튼으로 2열 시트를 접으면 최대 1,775L까지 공간이 확보된다.

 

1열의 탑승자 공간에는 총 24L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돼 있는데 이 가운데 넉넉한 사이즈의 냉장 글러브 박스(12L)와 물병 수납이 가능한 1.5L 크기의 전면 도어 트레이(3.7L)는 공간효율성까지 배려한 푸조의 감성이 돋보인다.

 

주행 중 안전에도 심혈을 기울인 티가 역력하다. 비행기 조종석에서 영감을 얻은 아이-콕핏(i-Cockpit)’을 통해 스마트한 주행환경을 선사한다.

 

9.7 인치 대형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것을 비롯해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 전화, 기타 차량 설정 등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정전식으로 반응속도가 빠르고, 편하게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석 방향으로 기울여 설계했다.

 

푸조가 자랑하는 1.69m2 면적의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가 장착되어 있어 승객에게 넓은 시야와 탁월한 개방감을 선사한다. 속도계와 회전 속도계의 주변 크롬 세부장식을 통해 차량 내부 소재도 프리미엄급으로 구성했다.

 

보닛에서부터 D 필러까지 이어지는 라인은 단단하면서 스포티한 기운이 넘치며 낮은 차체를 통해 스포티한 인상을 더했다. 전면부의 라디에이터 그릴은 크롬으로, 루프에는 알루미늄 레일을 더해 유려한 바디라인을 완성했다.

 

62LED로 구성된 최첨단 풀 LED 헤드램프는 터널진입과 같은 순간적인 조도변화에 0.2초 만에 반응토록 설계돼 눈의 피로와 안정적인 드라이빙을 돕는다. LED 헤드램프는 상위트림에 기본 적용된다.

 

2.0 BlueHDi의 디젤엔진은 최대 출력 150마력, 최대 토크 37.8kg.m의 강력한 파워를 발휘하며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기존 e-HDi 엔진의 뛰어난 효율과 HDi엔진의 다이내믹한 퍼포먼스를 모두 탑재했다.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2,000rpm의 엔진 회전 영역에서 최대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효율과 친환경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다.

 

New 308 SW 2.0 BlueHDi의 공인 연비는 13.7 km/(고속: 14.5 / 도심: 13.1)이며 144g/kmCO2 배출량을 보인다. 3세대 스톱 앤 스타트 시스템(Stop & Start System)을 적용, 차량 정차 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연료와 CO2 배출량을 줄였다.

 

스톱 앤 스타트 시스템으로 시내 주행 시 약 15%의 연비 향상 효과와 평균 5g/kmCO2 배출량 감소 효과볼 수 있다.

 

스티어링휠의 림을 줄이고 패널을 운전자의 눈높이에 맞게 대시보드 위로 끌어올려 전방 도로에서 눈을 떼지 않고도 패널 상부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좁은 공간에서도 운전자가 편하게 차량을 주차하고 주차된 공간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파크 어시스트(Park Assist)를 적용해 평행주차 시 도움을 준다.

 

전방 차량과의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해 차량 간의 적정 거리를 유지하는 다이내믹 크루즈 컨트롤(Dynamic Cruise Control)은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를 유지하다가 앞차와의 설정 간격 이내로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속도를 줄인다. 또 설정된 거리가 충족되면 다시 설정 속도로 복귀한다.

 

또 전자식 핸드브레이크, 대형 컬러 스크린을 이용한 후방 카메라, 스마트키 시스템(Keyless Access and Starting), 전후방 주차센서, 6개의 에어백 등 다양한 안전/편의 사양이 지원된다.

 

국내 시장에는 2.0 BlueHDi 악티브(Active), 알뤼르(Allure), 펠린(Feline) 3개 트림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각각 3490만원, 3690만원, 3850만원이다(모두 VAT 포함).

 

한불모터스송승철 대표이사는 “New 푸조 308 SW의 국내 출시를 통해 푸조의 라인업이 한층 강화되며 고객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졌다, “푸조의 미래가 집약된 모델인만큼, 높은 실용성과 혁신으로 국내 시장에서 푸조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ew 푸조 308 SW’는 이미 유럽에서 상품성을 인정받아 스위스,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등 국가에서 잇따라 올해의 차(Car of the Year)’에 선정됐다. 국내에서는 지난 7월에 출시한 New 푸조 308 후광이 어느 정도 이어져 출시하자마자 큰 기대감을 받고 있다.

 

딜러사인 한불모터스는 과거 307 SW, 308 SW가 국내 시장에서 누렸던 높은 인기를 이번 New 푸조 308 SW에서도 이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현장+] "산업은행 부산 이전 본격화?" 의혹 무성한 수상한 이전…노조는 결사반대
[KJtimes김지아 기자]산업은행이 지난 9월28일 '부산이전 준비단'을 발족, 이전 행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와 관련한 무성한 '의혹'들이 관계 기업과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회장 직속으로 TF 팀을 구성, 전략기획팀과 인프라기획팀이 꾸려진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전략기획팀은 동남권 영업력 강화방안 등 전략위주로, 인프라기획팀은 동남권 조직 업무 등 인프라 구축위주로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9월 2급 2명, 3급 6명, 4급 2명 등 10명으로 이전 준비단 TF 상근조직을 꾸리고 이외에도 40명을 비상근으로 더 뽑아서 50명이 실무작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에서도 산업은행 이전 지원협의회 형태로 공무원과 대학, 전문가, 부산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 15명 규모로 꾸며진 조직을 꾸려서 산은이전에 대한 논리를 개발, 지원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전 작업에 속도가 붙은 것과 달리, 산업은행 이전 후 서울 여의도 본사 사옥 부지를 놓고 다양한 의혹들이 거론되면서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핵심 논란은 '롯데패밀리'가 여의도에 쇼핑몰을 세우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펼치고 있다는 추측성 의혹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