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이지훈 기자]삼성전자가 국내에 출시한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가 출시 전 ‘대박’이 날거라는 예상과 달리 소비자들의 반응이 ‘시들’한 분위기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국내 예약판매량이 역대 갤럭시S 시리즈 가운데 최고치인 30만대에 육박하기도 했으나 지난 주말까지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실제 판매량은 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열흘간 갤럭시S6 시리즈 총 판매량은 20만대를 조금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는 예약판매량 30만대의 약 67%에 해당하는 수치로, 출시 이후 실구매 규모가 늘지 않고 예약판매분보다 10만대 가까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갤럭시S6 시리즈는 실적 회복에 나선 삼성전자의 주력 무기라는 점에서 국내 언론이 '갤럭시S6의 효과'를 일찌감치 예단하고 부풀려 보도한 것도 거품 낀 대박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언론 띄우기로 인한 '착시 현상'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특히 미국 등 해외 시장 판매량과 관련해 외신을 인용한 보도가 경쟁적으로 나오면서 확인되지도 않은 외국 이동통신 업계 소문이 그대로 사실화되기도 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내건 '7000만대 돌파' 슬로건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물론 갤럭시S6 시리즈가 갤럭시S5보다는 출시 초반 분위기가 좋다는 게 이동통신 업계의 평가이기는 하다. 전작 갤럭시S5는 삼성의 역대 최대 실패작으로 낙인이 찍혔지만 출시 초반만 해도 성적이 괜찮은 편이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국내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얼어붙은 데다 이미 프리미엄폰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 열흘 만에 20만대 판매고를 올린 것도 나쁘지 않은 성적이라는 평가도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대박 수준은 아니지만 갤럭시S5 때보다 분명히 분위기가 좋은 것은 맞다"며 "이동통신사가 지난 주말 일제히 보조금을 올린 만큼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판매량 상승이 일어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다만 근거없는 '갤럭시S6 대박론'이 일선에서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영세 사업자들에게는 재고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아야하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는 만큼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한 휴대전화 판매점 관계자는 "갤럭시S6와 엣지 모델 인기가 높다고 해서 경쟁적으로 물량을 들여왔지만 생각보다 찾는 손님이 없어 걱정"이라면서 "그나마 이동통신사 보조금이 예상보다 빨리 올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