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목표주가 ‘하향조정’…왜

이베스트 “증자로 희석 효과” 삼성증권 “증자는 수급에 부담”

[KJtimes=김승훈 기자]미래에셋증권[037620]이 유상증자로 12000억원을 수혈해 업계 2위인 KDB대우증권 인수전에 뛰어들 채비에 나선 가운데 증권사들이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0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의 목표주가를 종전 58000원에서 36000원으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각각 낮췄다. 그러면서 대규모 증자로 인한 희석 효과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현 발행 주식 총수의 100%43958609주 규모의 주주 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총 12067억원의 운영 자금을 확보한 뒤 KDB대우증권 인수전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대규모 증자로 올해 예상 주당순이익(EPS)50.3%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올해와 내년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평균 2%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 연구원은 증자의 목적대로 대우증권 인수에 성공한다면 자기자본 7조원 규모의 대형 IB(투자은행) 탄생이 가능하며 시너지 창출과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투하자본수익률(ROIC)이 높은 증자로 인식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하지만 경쟁요인 등을 감안하면 밸류에이션(평가가치)에 반영하기는 아직 이르며 투자업무 확대의 경우 해외자산 다변화 등을 통해 상대적으로 안정적 운용이익을 시현하고 있으나 아직 업종 내 차별적인 성과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면서 단기적으로 ROE 하락 요인이 우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삼성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의 목표주가를 종전 7만원에서 4만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한단계 내렸다. 그 이유로 대규모 유상증자가 상당 기간 수급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꼽았다.

 

장효선 연구원은 미래에셋증권의 2016년 주당순자산(BPS)과 주당순이익(EPS)은 각각 25.7%, 28.5% 희석할 것으로 추정된다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유상증자 대금이 향후 이 회사 잔여지분 인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극단적 주주가치 침해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장 연구원은 자본시장의 기회요인 포착과 대형화를 위한 준비작업이라는 측면에서 증자 취지는 이해 가능하다면서 하지만 과도한 인수가격 제시나 인수·합병(M&A) 실패 때 유휴자본 활용처 발굴 등은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