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유통업계는 달콤한 초콜릿 전쟁...인기 제품은?

[KJtimes=김봄내 기자]쌀쌀해지는 날씨, 식음료업계가 초콜릿에 주목하고 나섰다. 초콜릿 특수는 빼빼로데이, 수능 시험이 있는 11월부터 본격 작용해 온라인 쇼핑몰 G마켓은 지난해 수능을 앞둔 2주간 초콜릿 관련 매출이 12% 증가하기도 했다.

 

작년 초콜릿 대박 사례처럼 올해 역시 식음료업계는 매혹적인 계절을 통해 소비자들을 사로잡기 위해 앞다퉈 초콜릿 제품들을 내놓기 시작했다.

 

CJ제일제당의 프리미엄 디저트 브랜드 쁘띠첼은 11월을 앞두고 떠먹는 생초콜릿 디저트 쁘띠첼 크림쇼콜라를 출시했다. 진한 쇼콜라푸딩 위에 신선한 생크림을 토핑한 쁘띠첼 스윗푸딩 크림쇼콜라와 쇼콜라크림을 진한 카카오 케이크 시트로 감싼 쁘띠첼 스윗롤 크림쇼콜라’ 2종으로 선보인 이번 제품은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판형 초콜릿이나 한입에 쏙 넣는 조각 형태의 초콜릿이 아닌 스푼으로 떠먹는 형태의 생초콜릿 디저트로 부드럽고 진한 맛이 특징이다.

 

초콜릿 브랜드 허쉬는 키세스 초콜릿 고유 형태인 곡선형은 그대로 살리면서 크기는 기존 키세스 대비 2배로 커진 허쉬 키세스 디럭스(KISSES Deluxe)’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고소한 통헤이즐넛과 허쉬만의 부드러운 밀크 초콜릿이 어울려 바삭하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입안에서 톡톡 터지는 초코팝핑볼을 요구르트와 섞어 먹는 '비요뜨 슈팅스타'를 출시했다. 비요뜨 슈팅스타는 섞어 먹는 토핑 요구르트의 라인업 제품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초코팝핑볼을 토핑으로 넣어 요구르트를 더 즐겁게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미니스톱은 날씨가 쌀쌀해지는 추동계 시즌에 열량 보충에 효과적인 초코맛을 구매하는 고객이 더 증가함에 따라 초콜릿 본연의 맛을 살린 소프트크림 뉴(NEW) 초코맛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한 소프트크림 초코맛은 카카오 열매에서 바로 추출한 생초콜릿을 2% 함유했으며 지난해 선보였던 카카오초코맛보다 카카오 분말 0.3%와 유지방 유량 2.0%를 증가시켜 이전 상품보다 더 진한 초콜릿의 맛과 풍미를 담았다.

 

카페베네는 달콤한 핫초코가 생각나는 쌀쌀한 가을을 맞아 글로벌 초콜릿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해 총 4종의 초콜릿 음료를 내놓았다. '킷캣 에스프레소 셰이커', '앤디스 민트 초코라떼', '바리깔레보 블랑 초코라떼', '레드벨벳 카페라떼'는 글로벌 유명 브랜드 초콜릿 회사와 카페베네의 유러피안 감성이 어우러져 각 브랜드 초콜릿이 지닌 각양각색의 풍미를 만끽할 수 있다.

 

던킨도너츠는 여름시즌 출시됐던 블루큐브에 이어 가을시즌을 맞아 차별화된 초콜릿 음료 초코큐브를 출시했다. '초코큐브'는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의 맛이 연해지는 단점을 보완해 마지막까지 더욱 진하고 달콤한 초콜릿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부드러운 라떼의 첫 맛과 초코큐브가 녹을수록 진하게 느껴지는 모카라떼의 달콤함을 즐길 수 있는 제품 '초코큐브 마끼아또'와 우유와 초코큐브가 만나 부드러운 첫 맛과 초코큐브가 녹을수록 진해지는 맛을 음미할 수 있는 '초코큐브 밀크' 2종으로 구성됐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