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외환은행 인수 승인…노조는 강력 ‘반발’

노조, “끝까지 투쟁할 것” 밝혀 파장 예고

금융위원회가 하나금융지주의 외환은행 인수를 승인했다. 론스타가 산업자본이 아닌 금융자본이라고 판단한 결과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외환은행노동조합은 끝까지 투쟁하겠다며 강하게 판발하고 있다.

 

27일 오후 관련업계와 금융위에 따르면 당국은 하나금융의 외환은행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했다. 하나금융이 론스타와 계약을 체결한 지 14개월 만이다.

 

이 같은 결정은 외환은행의 대주주였던 사모펀드 론스타를 당국은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은 지난 20101125일 론스타와 외환은행 지분 51.02%를 인수하기로 계약하고 외환은행의 매매가격은 당초 46888억원이었지만 추가협상 끝에 39157억원으로 줄었다.

 

금융당국의 승인으로 하나금융은 론스타에 인수대금 39157억원을 지불하면 론스타가 2003년 외환은행을 21000여억원에 인수하고서 챙긴 수익규모는 7조원을 넘게 된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줄곧 하나금융으로의 편입을 반대해온 외환은행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기철 외환은행 노조위원장은 이날 가진 기자회견에서 하나금융의 론스타와의 계약이 무효라는 것은 법적으로나 사실관계를 따져봤을 때 명백한데 금융위에서 무리하게 하나금융의 손을 들어줬다잘못된 결정에 대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당국과 하나금융은 외환인수가 일단 이뤄지고 나면 노조와 외환은행 직원들이 잠잠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나 이는 큰 오산이라며 정치권과 시민사회와의 연대는 물론, 총파업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위의 외환은행 편입 승인 앞으로도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민주통합당을 중심으로 야당의원들이 론스타 매각 승인 절차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고 외환은행 노조와 전국금융산업노조는 외환은행 인수문제를 4월의 총선과 12월의 대선과 연계해 책임을 묻겠다는 뜻을 밝혔다. <KJtimes=심상목 기자>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