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드람엘피씨공사, ‘동물복지 도축장’ 공식 지정

도축 단계에서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 최소화
1,2차 종합 평가 거쳐 ‘동물복지 도축장’ 공식 지정

[KJtimes=장우호 기자]도드람엘피씨공사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복지 도축장으로 공식 지정됐다.

동물복지 도축장은 기존 HACCP에 동물복지 요소를 추가해 도축 단계에서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물복지 시설 설치, 관리 및 운용까지 실시하는 곳을 말한다.

22일 도드람에 따르면 도드람엘피씨공사는 지난 6월 동물복지 도축장 신청 후 운송차량 하차 시 안전장치 설치 여부, 전기봉을 이용한 강압적인 몰이 여부, 계류기간 축종에 맞는 적정 시설 제공 여부, 축산물처리작업 전 가축 완전 절명 여부 등에 대해 1,2차 종합 평가 및 심사를 거쳐 동물복지 도축장으로 지정됐다.

도드람엘피씨공사는 소비자 HACCP 평가에서 11년 연속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2015년 거점도축장 평가에서 최우수 거점도축장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영규 도드람양돈농협 조합장은 “동물복지 도축장 인증을 계기로 동물복지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림과 동시에 국내 축산농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