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장우호 기자]사모아는 현지물가가 저렴해 자유여행자와 추위를 피해 따뜻한 곳에서 롱스테이를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환경과 비용 모두 만족스러운 나라다.
장점이 뚜렷해 2015년 론리 플래닛이 선정한 “남태평양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여행지로 꼽히기도 했다.
30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사모아는 호주와 뉴질랜드인들이 겨울을 피해 몰려드는 7-8월 성수기를 피해 가는 것이 비용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우기도 1~2월로 짧아 5월부터 10월 사이 건기에 가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9월부터 12월에는 각종 축제가 몰려 있어 전국적으로 흥이 넘치는 ‘꿀’ 방문 기간이다.
9월에는 사모아의 가장 큰 축제인 테우일라 축제와 미스 사모아 선발대회가 있다. 10월과 11월에는 사모아와 하와이에서만 발견되는 '희귀 보양식’ 팔롤로가 물 위로 떠오르는 팔롤로 축제가 진행되고, 11월에는 걸출한 재즈아티스트가 모여 신명난 공연을 벌이는 사모아나 재즈페스티벌이 열린다.
12월에는 축제는 없지만 ‘세상에서 가장 먼저 뜨는 해’를 볼 수 있고, 새해를 두 번 맞을 수 있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는 거리상으로 가장 가깝고, 한 때는 한 나라였던 두 개의 사모아가 날짜 변경선을 경계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현재의 독립국 사모아와 아메리칸 사모아는 1889년 영국, 미국, 독일의 협정으로 분할 됐다. 이후 각각 뉴질랜드와 미국의 지배를 받다가 1962년 폴리네시아 민족 최초로 사모아가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한다.
독립국 사모아가 경제적 이유로 2011년에 12월 30일 하루를 버리고 날짜변경선 안 쪽에 편입됨에 따라 마주보고 있는 두 섬은 고작 30분의 비행거리에 위치하면서도 시차는 24시간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독립국 사모아에서 12월 31일을 보낸 후 비행기를 타고 30분만 미국령 사모아로 가면 또 한 번 12월 31일이 시작된다. 이를 응용하면 사모아에서는 생일, 결혼기념일 등 모든 소중한 날을 두 번 맞이할 수 있는 셈이다.
한편 지금 가면 맞이할 수 있는 천연 보양식 ‘팔롤로’는 10월과 11월 사이 보름달이 뜨는 날 만날 수있다. 청록의 가늘고 긴 모양을 한 벌레처럼 보이지만 산호의 짝 짓기를 도와주는 바다 곤충으로, 보름달 이후 일곱 번째 날 자정이 지나 물위로 떠오른다.
이 현상을 '팔롤로 라이즈'로 부르며, 모양은 다소 징그럽지만 맛이 좋고 무려 소고기의 6배 이상으로 영양을 함유하고 있어 미식가들은 이 팔롤로를 건져 먹기 위해 이 축제 기간에 사모아로 대거 모여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