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장우호 기자]SK텔레콤은 서울대가 연구 중인 자율주행차량 ‘스누버’에 차량통신을 적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ㆍ공개했다.
SK텔레콤과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는 차량통신 및 영상인식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탐지거리를 확대하는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서울대 캠퍼스에서 시연했다.
6일 SK텔레콤과 서울대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를 주행하는 5km 구간에 6개의 신호등 및 보행자 돌발 횡단 상황 등을 설치ㆍ설정하고, 도로 교통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차량통신기술 및 영상기반 차량신호등 인식 기술 등을 검증했다.
이날 서울대 캠퍼스에는 스누버의 자율주행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차량통신기술 구현용 통신망이 설치됐다.
이번에 활용한 차량전용통신망은 5GHz 대역을 이용하며, 하이패스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한 근거리통신망 기술의 일종으로 자동차가 가까이 접근하면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를 받는다.
SK텔레콤은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확보되는 신호등 등 영상정보를 딥러닝 기반으로 학습하는 영상인식 기술도 장착해 효율성을 점검했다.
차량 및 보행자 등 물체인식 기술과 지도에 기반해 자율주행을 선보였던 기존 ‘스누버’는 이번에 통신 및 영상 등 ICT 인프라를 활용해 신호등과 보행자의 움직임을 파악해 주행 안정성을 더욱 높였다는 평가다.
서울대는 길가에 고정된 CCTV 카메라를 활용해 자율주행 자동차가 사각지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탐지영역 확대 기술을 개발ㆍ시연하기도 했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점진적인 자율주행 도입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 기술을 개발했다”며, “차량 통신 기술을 기반한 다양한 차량 파트너들과 ICT 기반의 협력을 통한 자율주행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