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지난해 가습기 살균제를 발단으로 각종 화장품, 세제, 치약, 물티슈, 생리대로까지 번져나간 생활용품 속 유해 성분 논란이 좀처럼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최근 해외 유명 립밤에서도 발암물질이 검출돼 논란이 일고 있는 것.
지난 달 말 프랑스 소비자 단체(UFC Que Choisir)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립밤 21개를 조사한 결과 총 10개 제품에서 발암 가능성 물질이 검출됐다. 일부는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브랜드들로 많은 이들이 약국이나 온라인 몰을 통해 구매해 사용하고 있던 제품이다. 더욱이 립밤은 연약하고 예민한 부위인 입술에 수시로 바르는 보습제인 만큼 유명 브랜드를 신뢰하고 해당 제품을 사용해온 소비자들의 배신감과 불안은 극에 달했다.
검출된 유해 물질은 심한 경우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진 미네랄오일(MOSH와 MOAH) 성분. 유럽 화장품 규정 및 식약처 규정에 따라 승인된 원료이며 장기간 여러 연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성분이긴 하나, 2012년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MOSH와 MOAH가 장기간 체내에 흡수 및 축적될 경우 림프샘, 간을 자극하고 신장, 비장 등 장기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네랄오일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 여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 상황.
전문가들은 해당 성분의 유해성에 대해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만큼, 영유아가 사용하는 제품이거나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이라면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립밤을 고를 때도 반드시 성분을 확인해볼 것을 권장한다. 특히 해외 제품의 경우 성분을 모두 공개하지는 않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요구되며, 제품 뒷면이나 홈페이지에 전성분이 기재된 브랜드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다.
제품 뒷면에 전성분을 표기하고 있는 닥터 브로너스의 ‘오가닉 립밤’ 5종은 논란이 된 미네랄오일은 물론 파라벤, 트리클로산, 인공색소, 인공향, 실리콘 등 합성화학성분을 일절 배제하고 전성분의 95%이상이 까다롭기로 소문난 미국 농무부(USDA) 인증 유기농 원료로 만들어져 남녀노소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호호바 오일과 아보카도 오일 등 식물성 오일이 건조한 입술에 촉촉한 보습 효과를 주며, 항산화 성분인 천연 토코페롤이 입술을 건강하게 보호해 준다.
닥터 브로너스 관계자는 “닥터 브로너스 ‘오가닉 립밤’은 제품의 특성상 입술을 통해 흡수되며 먹기 쉽다는 점을 고려해 화학첨가제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100% 내추럴, 95%이상 유기농 성분으로 만든 제품”이라며, “립밤은 요즘같이 건조한 계절, 하루에도 여러 번 연약하고 민감한 입술에 닿는 제품인 만큼 안전한 성분으로 만들어졌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