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삼성전자, 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 22일 국내 출시

[KJtimes=김봄내 기자]삼성전자가 S펜을 탑재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한 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22일 국내에 출시하며 본격적인 Pen 노트북 시대 개막을 알린다.

 

20177월 처음 소개한 삼성 노트북 Pen’은 노트북 최초로 S펜을 탑재하고 360도 회전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노트북과 태블릿의 경계를 허문 사용자 경험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 33.7 cm 모델은 2017년 히트모델인 삼성 노트북9 Always’와 동일한 마그네슘 소재를 적용해 1Kg이 넘지 않는 초경량 디자인으로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

 

삼성전자는 풀 메탈의 금속 덩어리를 이음새 없이 깎아 만드는 싱글 쉘 바디에 최첨단 플라즈마 표면처리 방식인 MAO(Micro Arc Oxidation) 공법을 적용해 만든 마그네슘 기반의 ‘Metal12TM’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의 무게는 획기적으로 줄이고, 강도는 단단하게 유지했다.

 

삼성 노트북 Pen’은 디스플레이를 360도로 회전해 태블릿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0.7mm의 얇은 펜촉과 4096 단계의 필압을 지원하는 S펜으로 종이에 글씨를 쓰거나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리듯 자연스럽게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S펜을 활용해 전문가급 이미지 작업이 가능한 오토데스크 스케치북(Autodesk Sketchbook)’ 프로그램 유료 버전을 삼성 노트북 Pen’ 구매 고객들에게 90일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삼성 노트북 Pen’S펜은 기존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S펜과 동일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S펜을 디스플레이 가까이 대고 측면의 버튼을 누르면 새 노트 작성 원하는 영역을 골라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셀렉트현재 화면을 캡처해 그 위에 바로 필기할 수 있는 캡쳐 후 쓰기등을 지원하는 에어 커맨드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최신 인텔 8세대 프로세서 멀리서도 또렷한 음성 녹음이 가능하고 녹음 중에 표시해놓은 부분만 찾아서 들을 수 있는 보이스 노트전문가급 디스플레이 색 정확도를 제공하는 삼성 리얼뷰(RealView) 디스플레이얼굴이나 지문인식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로그인할 수 있는 윈도우 헬로우(Windows Hello)’를 지원한다.

 

2018년형 삼성 노트북 Pen’은 라이트 티탄 한가지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크기와 프로세서 등 세부 사양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출시될 예정이다.

 

가격은 33.7cm 최상급 모델인 NT930QAA-K716238만원, 38.1cm 최상급 모델인 NT950QAA-X716266만원이다.

 

삼성전자는 15일부터 21일까지 삼성 노트북 Pen’을 구매하고 이벤트에 참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128GB 용량의 마이크로 SD 카드를 제공하는 삼성전자 S’ 아카데미 23rd 예약 쿠폰 이벤트를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초경량·초슬림 노트북 시장을 선도해온 삼성 노트북9 Always’ 신제품도 22일 출시한다. 2018년형 삼성 노트북9 Always’는 배터리 용량을 동급 최대 사양인 75Wh로 확장해 사용 시간을 대폭 늘렸다. ‘삼성 노트북9 Always’는 실제 사용 환경에 기반한 엄격한 테스트인 MM14(모바일마크14) 기준으로 최대 19.5시간 사용할 수 있다(15형 외장 그래픽 모델, MM07기준 29시간).

 

특히 삼성전자만의 독자 기술인 퀵 충전기술로 10분만 충전해도 2.1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20분 충전하면 4.4시간 사용할 수 있다. ‘삼성 노트북 9 Always’는 라이트 티탄, 크러쉬 화이트의 2가지 색상, 다양한 사양으로 출시된다. 33.7cm NT900X3T-K58L 모델은 184만원, 38.1cm NT900X5T-K58L 모델은 194만원, 38.1cm 외장 그래픽 NT900X5T-X78L 모델은 224만원 등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