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SK텔레콤,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 최장 기간 연속 1위 달성

[KJtimes=김봄내 기자]SK텔레콤이 한국생산성본부가 선정·발표하는 2018년 국가고객만족도 (NCSI·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조사에서 21년 연속 이동통신 부문 1위에 올랐다. 1998NCSI 조사 시작 이후 매년 최고의 이동통신사업자임을 인정받으며 최장 기간 연속 1위를 달성한 것이다.

 

* 삼성물산과 한국야쿠르트가 지난해까지 20년 연속 1위 달성했으며 올해 결과는 하반기 발표

 

 

NCSI는 국내 기업의 상품·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직접 평가한 만족 수준을 측정, 계량화한 지표다. 한국생산성본부와 미국 미시간대가 공동개발한 NCSI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있는 고객만족지표로 평가받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자사의 상품서비스는 물론 SK ICT패밀리사인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SK플래닛의 모든 상품서비스까지 혁신의 대상으로 정해 고객에게 불합리하거나 불편을 주는 요소를 제거하고 있다.

 

 

특히 1997년부터는 매달 임직원이 참여하는 고객가치혁신회의를 열어 상품서비스에 대한 고객 경험을 진단하고,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상품서비스를 혁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고객 접점의 생생한 의견도 다양한 통로를 통해 실시간 취합 중이다. 고객 의견을 직접 듣는 고객센터 상담사와 다양한 직원으로 구성된 사내 평가단이 고객 관점에서 불편한 제도정책 관련 아이디어를 내면, 이를 사업부서가 반영해 개선하는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고객마다 다른 사용 패턴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상품·서비스도 지속 출시해 왔다. 해외여행 고객을 위한 ‘T로밍 한중일아시아패스로밍 요금제, 외국인 고객을 위한 ‘T 글로벌요금제와 앱, 청소년 고객을 위한 주말엔 팅요금제, 국내 40만 군 병사 고객을 위한 현역플랜전역플랜등을 잇따라 내놨다.

 

 

오프라인 청구서를 고객 맞춤형 요금안내서로 탈바꿈시켜 고객의 편의를 강화하기도 했다. SK텔레콤은 모바일 청구서 앱 ‘T스마트청구서에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 기능을 더한 모바일 요금안내서 앱 ‘Bill Letter’를 선보이고, 60세 이상 실버고객을 위해 우편 요금안내서의 글자 크기를 평균 150% 확대하고 픽토그램도 적극 활용하는 등 맞춤형 고객 안내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엔 고객가치혁신을 선언하며 이통서비스 변화·혁신의 방아쇠를 당기기도 했다. 먼저 지난 5일엔 약정제도를 전면 개편해 무약정 고객에도 혜택을 주고 선택약정 고객의 할인반환금 부담을 낮췄다. 이어 지난 23일엔 로밍 서비스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음성데이터 로밍 이용 부담을 대폭 낮추고 과다요금에 대한 걱정을 없앴다.

 

 

지난 2월부터는 T월드 전 매장에 최적 요금제 제안 시스템을 도입, 고객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제 고객에 적합한 요금제를 추천하고 있다. 시스템 도입 전인 ‘172월과 도입 후인 ‘182월을 비교 시, 기변 전 요금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더 낮은 요금제로 바꾸는 비중은 약 39%에서 약 60%로 약 21% 포인트 높아져 고객의 요금 부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2017KS-SQI(한국서비스품질지수) 조사·KCSI(한국산업고객만족도) 조사에서도 1위를 차지, 각각 18·20년 연속 1위를 달성하며 전 산업 분야 통틀어 3대 고객만족도 조사 최장 기간 연속 1위를 이어오고 있다.

 

 

SK텔레콤 허선영 고객가치혁신실장은 “NCSI 21년 연속 1위 달성은 고객의 자부심을 지키고자 오랜 시간 진심으로 노력한 부분을 인정 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고객의 자부심을 지켜가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