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 3.11 일본 대지진과 맞물려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국내의 특허 받은 방사성 물질 제거 기술을 일본 측에 원조하려했으나 현지 사정으로 성사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은 이 같은 방사성 물질 제거 기술력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올라 있는 것을 입증하게 됐다.
특허청이 발표한 방사능 오염시설과 토양 등으로부터 방상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특허출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동 기술로 최근 10년간 170건의 특허가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2년~2005년 사이 해마다 9건 정도가 출원되던 것이 2006년~2011년에는 해마다 23건 정도가 출원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기술 분야별로는 기계적 방법(82건, 48%), 화학적 방법(66건, 39%), 전기화학적 방법(22건, 13%) 순으로 출원 건수가 많았다.
기계적 방법은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오염된 시설, 토양의 표면을 직접 깎아내는 것이고, 화학적 방법은 오염된 시설, 토양의 표면에 시약을 접촉시켜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염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며, 전기화학적 방법은 오염된 토양 등에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흘려 오염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전기화학적 방법은 2007 ~ 2009년 사이에 내국인에 의해 많이 출원되었고, 우리나라 일부 기업이 이 기술을 이용하여 후쿠시마의 방사성 물질 제거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였으나, 일본 측 사정으로 현재는 참여가 보류된 상태이다.
또한, 이를 출원인별로 나누어 보면, 대부분의 출원인이 내국인(145건, 85%)인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가 상당한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방사성 물질은 태우거나 중화시켜 화학적 형태를 변화시키더라도 방사능은 사라지지 않으며, 그 반감기가 보통 수십만 년에 이른다. 따라서 오염된 시설, 토양 등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한 방사성 물질은 원칙적으로 모두 회수한 후 고체화하여 현재 환경으로부터 격리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고체화 기술로는 방사성 물질을 유리 구조와 결합시켜 안정된 형태로 가두어 두는 유리화 기술이 있으며, 고체화된 방사성 물질은 지하 처분장에서 오랜 시간 동안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원전 사고의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므로 앞으로 원전 사고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