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상위1% 연소득 34억...배우는 17억 번다

[KJtimes=김봄내 기자]가수 수입 상위 1% 연평균 34억원 넘는 소득을 올리고 배우 등 연예인의 수입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는 추세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에 제출 요구한 ‘2014~2018년 업종별 연예인 수입금액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 수입을 신고한 가수 6,372명이 벌어들인 수입은 총 4,0957,800만원이며 1인당 평균수입은 6,428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총 4,855명의 총수입 2,864900만원에 비해 인원은 31.3% 증가하고 수입은 43.0% 증가한 수치다.

 

2014년엔 상위 1% 가수의 수입이 전체의 48.1% 수준의 비중이었는데 2018년에는 상위 1%가 전체수입의 53.0%를 차지하며 상위 소득집중도는 더욱 높아졌다.

 

2018년 전체 가수 1인당 수입은 6,428만원 수준인데 비해 상위 1% 63명은 2,1716천만원을 벌어 1인당 수입은 344,698만원에 달한다.

 

상위 1%1인당 수입은 99% 가수의 1인당 수입 3,050만원의 113배에 육박한다.

 

이는 201492.7배의 격차에서 더욱 벌어진 수치다.

 

한편 탤런트와 MC를 비롯한 코미디언, 개그맨, 성우를 포함한 배우등 업종 종사자 18,072명의 2018년 수입은 총 6,5318천만원이며 1인당 수입은 3,614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우 상위 1%에 속하는 180명의 총수입은 3,0646천만원으로 전체수입의 46.9%를 차지하며 1인당 수입은 17256만원이었다.

 

모델 업종 동사자의 2018년 수입신고 내역은 총인원 8,179명이 86629백만원을 신고하여 1인당 수입은 1,059만원으로 집계됐다.

 

모델 상위 1% 81명은 총 39863백만원을 신고하여 1인당 수입은 49,214만원 수준이다.

 

양 의원은 업종별로 연예인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추세다연예인의 투명한 수입신고를 유도하는 것과 더불어 예술인 고용보험제도로 저소득 연예인들의 생계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