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신현희 기자] LG화학(현 LG에너지솔루션)이 호주에서 만든 태양광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천여 개에 대해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다는 것이 이유다.
지난 11월21일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에 의하면,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2017년 3월부터 2018년 9월 사이에 생산한 주택용 ESS 제품에 대해 리콜 조취를 취했다. 약 7300여 개 정도며, 현재 리콜 결정을 알린후 약 2900개의 배터리가 교체 또는 환불됐다.
앞서 호주에서는 지난 2019년 10월 이후 배터리와 관련된 사건이 9건이나 보고됐고 부상자 1명이 발생했다.
이에 ACCC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화재 발생으로 부상, 사망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문제의 리콜 대상 제품은 LG에너지솔루션이 분사하기 전 LG화학에서 호주에 공급한 제품이다. 앞서 지난 2021년 2월 안전 리콜을 시작한 이후 같은 해 8월 추가 모델을 포함해 재리콜을 단행했다. 이번 리콜이 벌써 세 번째인 셈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만든 ESS제품은 미국에서도 사고가 접수된 바 있다. 미국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지난 11월4일 LG에너지솔루션 가정용 ESS 'RESU 10H' 배터리에서 5건의 화재 발생 신고가 접수된 것과 관련해 1만 규모의 리콜 명령을 내렸다.
리콜 대상은 2017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판매된 제품으로, RESU 10H는 400볼트(V)의 고전압에 최대 9.8KWh 저장용량을 갖춘 가정용 ESS배터리 모델이다. CPSC는 이번 리콜 대상 제품이 지난해 이미 리콜이 이뤄졌던 제품이다.
◆리콜해도 문제는 계속... 재리콜까지 도대체 왜
뿐만 아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의 GM 전기차 화재 관련 배상 사건은 이미 뼈아픈 사건으로 기록돼 있다.
GM은 지난 2020년 11월 LG 배터리 제조 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여 대를 리콜했다. GM은 이 리콜 사태와 관련해 2021년 10월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리콜 비용을 배상받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 측에서는 리콜 분담금이 1조4000억원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자동차배터리 관련 리콜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의하면, 메르세데스 벤츠는 2020년 2월 "LG배터리 셀 내부 결함으로 화재 위험이 크다"며 2019년형 '스마트 포투' 전기차를 리콜했다.
현대차도 8개월 뒤 비슷한 사유로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 전기차 회수 조치에 나섰고, 지난해에는 배터리 전기 단락 현상에 따른 화재 위험으로 코나와 아오이닉 전기차를 대상으로 2차 리콜을 시행했다. 스탤란티스는 지난 2월 수십 건의 차량 화재 신고를 접수하고 LG배터리가 장착된 2017∼2018년형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미니밴을 회수했다. 모두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자동차들이다.
이런 상황에 이제는 전기차뿐 아니라 주택용 ESS 제품에 대해서도 리콜 조치가 진행되면서 소비자들의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불신은 더욱 악화되는 모양새다.
◆지속되는 소비자들의 불신…권영수 부회장 경영 리더십까지 발목
특히 리콜에서 마무리됐어야 할 리콜 사태가 인명 피해로 이어지면서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의 안전성에서 시작된 의문들이 이제는 권영수 부회장의 경영 리더십까지 발목을 잡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쯤되니 권 부회장의 책임경영과 공격적 투자가 배터리 시장에서 비약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하지만 이러한 성과와 별개로 연이은 '리콜 악재'는 글로벌 시장에서 회사의 신뢰도 극복을 위한 가장 급한 문제가 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본지는 이번 ACCC의 리콜 조치에 대한 답을 듣고자 LG에너지솔루션 측에 지속적인 연락을 취했으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인명 피해까지 생긴 만큼 LG에너지솔루션 측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답변과 원인규명에 대한 사측의 움직임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