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의 경쟁입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입찰에 참여한 대우건설의 입찰 조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통해 진정성, 진심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6·27 대책으로 이주비 및 추가이주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우건설은 이번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에서 기존 규정에 따른 이주비 LTV50%에 추가이주비 50%를 더해 LTV 100%를 제안했고 경쟁사는 이주비 50%에 추가이주비 100%를 제안해 LTV 150%를 제안했다. 언뜻 봐서는 경쟁사의 조건이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현실성이라는 부분을 생각하면 달라진다.
최근 한남4구역 추가이주비 논란에서 알 수 있듯이 LTV 100%를 넘어서는 부분의 이주비는 대출의 주체인 조합에서 담보외 추가 대출에 대한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어 조합원들에게 추가적인 담보를 요구하게 된다. 결국 사실상 LTV 100% 대출이 현실적이고 정직한 제안이라고 볼 수 밖에 없어 대우건설이 진정성을 가지고 제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우건설이 제안한 사업비 조달금리 CD+0% 금리 제안에 대해 항간에서는 대우가 필수사업비 300억만 제공할 것이라고 소문이 퍼지고 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대우건설 측에 확인한 결과 필수사업비에 대해 조달금리 CD+0% 금리를 제안한 것은 맞지만 금액이 300억 한도라는 것은 허위사실이라는 입장이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필수사업비는 최소 약 3000억원 이상으로 예상되며 대우건설은 조합 총회에서 의결하는 필수사업비 전액에 대해 CD+0% 금리를 적용할 계획이다. 조합에서는 필수사업비 규모를 약 4000억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필수사업비 제안에서 CD금리+a% 의 금리가 예상되는 경쟁사보다는 대우건설의 제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대우건설이 제안한 CD+0% 금리라는 것이 시중최저금리보다 낮기 때문에 도시정비법 위반이라는 이야기도 있으나, 지금까지 여러 사업에서 이와 같거나 더 낮은 조건의 금리 제안도 있었다는 것이 대우건설의 설명이다. 실제 한남4구역에서는 이번 개포우성7차에 참여한 S사에서 CD+0.78%를 제안했고, 당시 경쟁사였던 H사는 CD+0.1%의 금리를 제안해 역시 시중최저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제안했다. 최근 이슈가 되었던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의 경우에도 P사는 CD+0%, 경쟁사였던 H사는 CD+0.1% 금리를 제안해 도정법 위반이라는 일각의 우려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우건설은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서 용적률 및 임대세대 계획에 대한 개선을 고민하던 조합원들의 NEEDS를 사전에 파악하여 대안설계를 통해 이를 해소할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설계가 입찰지침을 위반한 것 아닌가라는 의문에 대해 대우건설은 현재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은 사업시행인가 전 정비계획 단계의 사업으로 대안설계로 제시한 부분은 경미한 사안에 해당되어 입찰지침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조합 역시 공식적으로 경쟁에 참여한 두 건설사의 대안설계 모두 기준에 들어와 문제가 없다는 입장으로 오랜 기간 입찰 참여를 준비해 온 대우건설의 진심과 준비성이 오히려 눈에 띈다는 것이 조합원들의 반응으로 알려졌다.
대우건설은 대안설계의 스카이브릿지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개포 일대 최장인 길이 80m, 높이 120m 스카이브릿지를 대안설계로 제안한 대우건설은 일대의 가장 랜드마크 단지로 돋보일 수 있는 설계를 제안했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스카이브릿지가 인허가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이야기하지만, 이미 래미안 원펜타스, 원베일리, 서초푸르지오써밋 등 서울시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스카이브릿지는 시공이 완료되었으며, 대우건설과 현재 경쟁 중인 S사 역시 신반포4차, 남영2구역, 과천주공10단지 등에서 스카이브릿지 설계를 제안한 바 있다. 실제 개포우성7차에 입찰한 두 회사는 정비사업에서 스카이브릿지 시공 및 인허가 완료 실적이 가장 많은 회사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에서 대우건설은 대안설계 기준 총공사비에서 경쟁사보다 약 21억 정도 높은 공사비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세부적인 제안사항을 고려하면 들어가는 마감재의 수준 등에서 대우건설이 훨씬 고가의 마감재를 제안하여 조합원 세대당 270만 원 정도의 공사비 차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여진다.
대표적인 마감이 음식물쓰레기이송설비로 최근 강남권의 재건축 아파트 단지에서는 대부분 적용되어 호평을 받고 있는 부분이다. 음식물쓰레기이송설비는 세대당 600만 원 정도가 소요되는 상품으로 경쟁사인 S사에서 제안한 100만원 정도의 음식물 분쇄형 처리기에 비해 훨씬 고가의 설비로 알려졌다. 대우건설은 이 설비 하나로만 이미 40억 원 수준의 공사비가 조합원들에게 이득이 되는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조합원들이 원하고 있는 대청역과 단지의 연결공사에 대해서도 대우건설은 80억 원의 공사비를 부담할 것으로 제안해 공사가 현실화될 경우 조합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세대 라인보다 많은 수의 엘리베이터를 확보한 설계 등 다양한 특화설계 아이템 역시 대우건설의 경쟁력이 확인되는 부분이다.
즉, 대우건설의 총공사비가 약 21억 원 높은 것은 맞지만 여러 가지 제안을 통해 조합원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고가의 설비를 적용한 것을 통해 아무런 문제가 될 수 없다는 것이 대우건설의 설명이다.
정비업계에서는 대우건설의 이번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 입찰 제안에 대해 역대급 조건과 마감, 설계가 제안된 것으로 본다며, 오랜 기간 동안 해당 단지 입찰을 위해 준비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 역시 “대부분의 사업조건을 꼼꼼히 살펴볼 때 당사의 입찰 조건이 우위에 있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조합이 허용해 준 홍보부스, 홍보관을 통해 조합원들께 세부적인 조건과 내용을 꼼꼼히 설명하고 안내해 모든 임직원들의 진심과 진정성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