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아모레퍼시픽[090430]에 대해 LIG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이 각각 다른 분석을 내놔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4일 LIG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중국에서 소비세 인하 효과로 현지에서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가습기 살균제 원료가 함유된 치약 문제는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수민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고급 화장품 소비세가 30%에서 15%로 인하된 후 면세 매출은 점차 줄고 중국 현지에서 실적이 늘어날 것”이라고 관측했다. 강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4369억원, 218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5.9%, 33.8% 증가할 것”이라면서 “이는 시장 컨센서스와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메디안 치약에 대한 회수 비용 규모는 합리적으로 예상하기 어렵고 아직 반영 시기도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았다”며 “이 회사 제품 중에서 치약 비중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보면 회수 비용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같은 날, 삼성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를 46만원에서 43만원으로
[KJtimes=김승훈 기자]두산밥캣의 상장 재추진으로 두산그룹의 신용등급 하향 및 재무구조 개선 차질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IBK투자증권은 두산그룹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두산밥캣의 오는 11월 국내 상장으로 두산인프라코어[042670]의 재무구조, 나아가 두산그룹의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산밥캣은 전날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를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기업공개(IPO)를 증권신고서 수정 후 재추진하겠다고 밝힌 지 사흘 만이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기준 5조1000억원에 달했던 두산인프라코어의 순차입금 규모는 3조원대로 낮아질 전망”이라며 “이번 공모 물량이 무리 없이 소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공모 물량은 당초 49%에서 30%로 낮췄고 공모 희망가도 처음보다 30% 이상 줄인 주당 2만9000∼3만3000원으로 잡았다”면서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합리적인 수준임을 감안할 때 무리 없이 구주매출이 소화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다만 이번 상장 재추진 과정에서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엔진[082740]의 구주매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투자신탁[034830]과 셀트리온[068270]에 대해 증권사가 관심을 가지면서 그 이유에 대해 눈길이 가고 있다. 13일 KTB투자증권은 한국투자신탁에 대해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5000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2015년 신탁 수주 증가로 2018년까지 실적이 성장할 기반이 마련돼 있으며 높은 잠재 성장성을 고려할 때 현재 저평가된 상황이라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3분기 한국토지신탁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70억원, 209억원으로 예상치에 부합하고 3분기 말에는 지방 주택경기 둔화 우려에도 1300억원을 새로 수주했다”며 “현재 검토 중인 안건이 많아 전년도 이상의 신탁 수주를 기대할 만하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특히 2015년 수주한 분양물량의 기성률이 높아져 수수료 수익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공사대금 대여금 관련 이자수익 회복도 기대되는 상황이어서 4분기 이후 20%대 이상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SK증권은 셀트리온에 대해 목표주가를 13만5000원에서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한편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의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애플의 아이폰7플러스가 반사이익을 보면서 부품 공급 업체인 LG이노텍과 SK하이닉스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HMC투자증권은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LG이노텍과 SK하이닉스는 아이폰7플러스가 듀얼 카메라와 3GB 모바일 디램을 탑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혜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소형 부품주 가운데선 아이폰 매출 비중이 90% 이상인 아바텍[149950]과 감전소자의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아모텍[052710"을 관심 종목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노 연구원은 “이번 단종 사태와 관련해선 엄격한 사전 품질 검사의 중요성을 지목하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갤럭시S8의 조기 등판은 지양돼야 한다”면서 “또 갤럭시노트7의 단종 비용으로 총 3조8000억원이 예상되는데 삼성전자의 3분기 IT·모바일(IM) 부문 영업이익이 2000억원대에 그칠 것”이라고 추정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건설사들이 국내 주택사업 호황으로 해외 수주 침체를 극복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 가운데 주목해야 할 종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현대증권이 현대산업[012630]을 최선호주로, 차선호주로 대림산업[000210]을 제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2일 현대증권은 이런 평가를 내놓고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현재 수준의 금리와 정책 기조 아래에선 건설사들의 실적 개선을 기대할 만하다고 밝혔다. 김열매 현대증권 연구원은 “신규분양 시장과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중심으로 건설사들이 주택사업을 확대해가고 있다”며 “건설사의 올해 분양계획은 연초 약 30만~35만호 수준이었으나 분양시장이 호황을 이어가면서 계획물량이 49만호 이상으로 상향됐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건설업종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었던 해외 부문의 저수익 사업 공기 지연과 수주 부진으로 인한 부담은 여전히 남아 있다”면서 “하지만 국내 주택사업 호조로 해외 리스크를 극복할 여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건설 업종 전망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아파트 가격”이라며 “저유가로 해외수주가 침체된 상
[KJtimes=김승훈 기자]GS리테일[007070]과 GS홈쇼핑[02815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12일 SK증권은 GS리테일의 목표주가를 6만8000원에서 7만3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본격적으로 재무구조 개선 및 영업이익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GS리테일의 경우 지배구조 리스크를 부각시키며 인수했던 파르나스호텔이 내년부터 의미 있는 실적을 올릴 것으로 기대되는 점도 주요 투자 포인트라고 지적했다. 손윤경 SK증권 연구원은 “GS리테일은 롯데백화점 평촌점 부지를 매각하면서 재무구조가 기존보다 3000억원가량 개선됐다”며 “슈퍼마켓 사업의 부진에도 호텔 사업 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 연구원은 “핵심 사업인 편의점 사업은 올해 3분기 매출은 1조5138억원, 영업이익은 7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1%, 24.5%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에 힘입어 GS리테일의 3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 12.6% 증가한 2조207억원과 875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중공업[009540]과 SK네트웍스[001740]의 목표주가가 올랐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1일 NH투자증권은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15만원에서 18만원으로 올렸다.이는 이 회사의 경우 조선업황 회복 가시화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재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업황 회복을 고려해 현대중공업의 적정 주가순자산비율(PBR)을 0.7배에서 0.8배로 상향 조정했다”며 “내년에 점진적으로 신조선 수요 개선이 기대된다”고 판단했다. 유 연구원은 “자회사인 현대오일뱅크 이익 변동성과 수주 잔량 감소 우려에도 조선 업황 회복 가시화로 밸류에이션(가치평가) 재평가에 따른 기업 가치 상승이 전망된다”면서 “현대중공업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16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흑자 전환하겠지만 시장 기대치에는 못 미칠 것이고 4분기에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삼성증권은 SK네트웍스에 대해 투자의견을 ‘중립(HOLD)’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6500원에서 7700원으로 각각 상향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의 사업구조 재편 노력을 긍정적으로 해석한다는 분석에
[KJtimes=김승훈 기자]SK하이닉스[000660]와 현대산업개발[01263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1일 NH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로 7074억원을 제시하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2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하반기에 시장 전망을 웃도는 실적을 올릴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이 7174억원으로 시장 전망치인 6897억원보다 많을 것”이라며 3분기 D램 영업이익으로 PC D램 가격 강세 전환, 중국 모바일 D램 수요 증가를 고려해 7000억원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낸드(NAND) 부문은 수요 확대로 영업수지가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4분기 영업이익은 PC D램 고정가 상승으로 8916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 내년 D램 시장에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같은 날, LIG투자증권은 현대산업개발[012630]에 대해 목표주가 7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3분기에 시장 기대에 맞는 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017670]이 올해 3분기 시장 기대치를 소폭 밑도는 실적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1일 메리츠종금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투자의견 ‘단기 매매’와 목표주가 25만원을 유지했다. 정지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SK텔레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감소한 414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4245억원)에 소폭 못 미칠 것”이라며 “이는 갤럭시 노트7 발화 이슈로 7, 8월에 각 62만명을 기록한 번호이동자 수가 9월에 47만명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자회사 SK브로드밴드는 3분기 초고속인터넷과 IPTV 가입자가 순증한 반면 SK플래닛은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투자 증가로 수익성이 좋지 못하다”면서 “SK텔레콤은 하반기 눈에 띄는 실적개선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나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와 4.6%의 높은 배당 기대 수익률이 주가 하방을 지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정 연구원은 KT[030200]에 대해선 올해 3분기에도 견고한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하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원을 유지했다. 그러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의 4분기 예상 실적 전망이 속속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동부증권과 NH투자증권, 대신증권 등은 4분기 예상 영업이익으로 8조원에서 8조6000억원 수준으로 제시했다. 10일 동부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올해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며 목표주가 192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 증가한 7조8000억원의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을 공시했는데 이는 7조원 초중반에 머물렀던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권성률 동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IT모바일(IM) 부문에서 부진했지만 반도체, 디스플레이(DP), 소비자가전(CE) 부문 모두 기대 이상의 실적을 기록했다”며 “올해 4분기에 갤럭시노트7의 판매를 재개함으로써 IM 부문 실적이 개선될 것"이고 4분기에는 8조원대 초중반 수준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날 NH투자증권은 삼성전자가 올해 4분기에 8조원을 넘는 영업이익을 올릴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목표주가 195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분기 영업이익은 3분기 7조8000억원에서 4분기 8조300
[KJtimes=김승훈 기자]GS건설[006360]와 현대제철[0040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교보증권은 GS건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7000원을 유지하면서 업종 내 최선호주로 추천했다. 이는 이 회사의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백광재 교보증권 연구원은 “GS건설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2조9720억원과 6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6.6%, 514.7% 늘면서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며 “해외 공사의 일부 추가 손실 반영에도 신규 분양물량 착공 증가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백 연구원은 “신규 수주액은 3분기에 8조5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면서 “신규 수주 증가, 주택 매출 확대, 해외 저가 매출 비중 급감으로 성장 및 이익 회복이 3분기 이후 급격히 전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SK증권은 현대제철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만원을 신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권순우 SK증권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연결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은 4조86
[KJtimes=김승훈 기자]아모레퍼시픽[090430]의 목표주가에 대해 현대증권이 ‘하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10일 현대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를 55만원에서 48만원으로 내려 잡았다. 이는 이 회사의 면세 판매 채널이 성장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이달미 현대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8% 증가한 2186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이는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거나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면세점 채널의 경우 전년 대비 9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기저 효과에 따른 높은 성장률을 보이겠지만 2분기부터 시작된 면세점 구매 제한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성장세는 높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국내 면세점 채널의 둔화는 4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며 “4분기부터는 전년도의 높은 기저와 면세점 구매 제한으로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고 내년에는 연간 30% 수준의 성장률로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017670]과 현대산업개발[01263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일 HMC투자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8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HMC투자증권은 SK텔레콤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의 경우 4조30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4146억원으로 15.5% 줄 것이라고 추정했다. 황성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 실적 호조에 따른 지분법 이익 증가를 반영해 SK텔레콤의 내년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종전보다 19.2% 상향조정했다”면서 “높은 배당 매력과 11번가의 성장 가능성 등 긍정적인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현대산업개발에 대해 목표주가 6만5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건설업종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빠른 속도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산업의 올해 3분기 매출은 1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물산[028260]이 증권사들로부터 ‘호평가’를 받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자회사인 블레이크 캐피털(Blake Capital)과 포터 캐피털(Potter Capital)은 삼성전자가 인적분할을 통해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하고 투자부문을 삼성물산과 합병해 지주회사 형태로 지배구조를 개편할 것을 제안했다. 7일 NH투자증권은 삼성물산을 수혜주로 제시했다. 이는 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 분위기가 성숙해지며 시장 기대감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주변 환경을 보면 삼성전자가 지주회사 전환 불가 입장을 드러내지 않는 한 시장 기대감은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대 국회에서 발의된 경제민주화법안 중 ‘지주회사 전환 인센티브 축소’ ‘보험사 자산운용비율 시가평가 산정’ 조항의 통과 여부에 따라 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이 고려될 것”이라며 “상속세 이슈도 삼성 지주회사 전환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일반적으로 지주회사로 전환할 때 ‘인적분할-주식교환’으로 지배주주가 쉽게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삼성전자
[KJtimes=김승훈 기자]엘리엇매니지먼트의 주주 제안으로 삼성그룹 지배구조 전환이 본격적으로 가시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그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하이투자증권이 수혜주로 삼성물산[028260], 삼성전자[005930], 삼성생명[032830], 삼성에스디에스[018260] 등 4개 종목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7일 하이투자증권은 이들 종목을 수혜주로 제시하면서 삼성 오너 일가의 삼성전자 지배력이 취약해 삼성그룹 지배구조 변환은 시기의 문제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삼성전자 주가가 올라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능력 자질은 어느 정도 입증됐고 외국인 주주 엘리엇이 삼성 지배구조 변환에 대한 주주제안을 한 만큼 외국인 호응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이 부회장의 등기이사 선임 등 절차를 거쳐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변환이 본격적으로 가시화할 것”이라면서 “엘리엇의 주주제안으로 삼성그룹은 지배구조 변환에 대한 명분을 얻게 되고 엘리엇은 주가상승 등으로 실속을 챙기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삼성물산은 삼성그룹을 지배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