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 삼성전자[005930]가 실적 부진을 기록한 2분기 동안 시장 점유율 하락과 출하 물량 감소세를 보였다. 2위 애플은 물량이 다소 늘었으나 점유율은 소폭 하락했다.
삼성과 애플이 비운 자리는 고스란히 화웨이와 레노버와 같은 중국 업체들이 파고들었다. 저가 공세가 주요했다는 분석이다.
29일 시장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전 세계 2분기 이동전화 시장 추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출하 규모는 2억 4000만대~2억 9530만대 사이로 23.1%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1위 삼성전자는 7730만대에서 7430만대로 출하 물량이 3.9%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2분기 시장 점유율은 25.2%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32.3%)보다 7.1%포인트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2위 애플의 출하 물량은 3천120만대에서 3510만대로 12.4% 증가했다. 그러나 시장 점유율은 13.0%에서 11.9%로 1.1% 하락했다.
삼성과 애플의 점유율 하락은 중국 업체들에게 호재로 작용했다.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한 중국 화웨이는 지난해 2분기 1040만대의 출하 물량을 기록했으나 올해 2분기 2030만대를 풀어 무려 95.1%나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도 4.3%에서 6.9%로 상승했다.
레노버도 1140만대에서 1580만대로 38.7%의 출하량 증가세를 보여 점유율 4.7%에서 5.4%로 약진했다.
LG전자는 1210만대에서 1450만대로 출하량이 19.8% 상승했지만 중국 업체들의 폭발적인 상승세에는 미치지 못해 5.0%였던 시장 점유율이 4.9%로 주춤했다.
IDC 조사 담당인 멜리사 차우는 “‘피처폰의 죽음’이 예상보다 일찍 다가오면서 중국 업체들이 신흥시장 소비자들을 스마트폰 시장으로 이끄는 역할 준비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 업체들은 삼성과 애플 등 글로벌 업체들과 비교해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고, 풀질 면에서는 중국 내 경쟁 기업들보다도 좋다”며 “생산 규모도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중국 스마트폰 대기업들이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