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와이지엔터’ 목표주가 ‘뚝’…왜

“LG디스플레이 패널 공급과잉 불안”…“와이지엔터 기대 이하 실적”

[KJtimes=김승훈 기자]LG디스플레이[034220]와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의 목표주가가 내려갔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한화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034220]의 목표주가를 종전 46000원에서 29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는 유지했다. TV 수요 부진과 중국의 과감한 투자가 시장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은 LCD TV 수요가 올해 3년 만에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될 만큼 수요 침체가 심각하다면서 중국의 패널 업체들이 10세대급 이상의 대형 캐파(생산능력) 투자를 준비하고 있어 미래의 패널 수급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순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신규 투자하는 공장은 오는 2017년 말에나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미 올해 하반기부터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나며 패널 가격은 급락하기 시작했다이런 추세는 내년에도 지속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이 의미있게 성장하기를 기대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서 애플워치의 수요가 당초 기대치의 3분의 2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OLED TV 또한 초고화질(UHD) TV보다 2배 이상 비싸다는 이유로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가에 부정적인 상황은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부정적인 이슈가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돼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이 과도하게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KTB증권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목표주가를 종전 67000원에서 62000원으로 내리고 매수투자의견은 종전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3분기에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냈다는 것을 이유로 꼽았다.


KTB증권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3.5%20% 증가한 477억원과 55억원을 기록했으나 순이익은 29.4% 감소한 45억원으로,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이남준 KTB증권 연구원은 빅뱅 월드투어 공연으로 콘서트 매출은 좋았지만 9월에 나오기로 했던 빅뱅 정규 앨범의 발매가 지연된 탓에 앨범과 디지털 콘텐츠 수익이 예상보다 저조했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 실적은 기대해 볼만하다면서 빅뱅의 일본 돔 콘서트와 신규 정규 앨범, 아이콘의 일본 아레나 투어 등이 내년 상반기에 집중돼 있어 실적 모멘텀이 유효하다고 관측했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⑤]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돗투돗, 제품 불량 논란에 댓글 차단까지… 고객들 ‘부글부글’
[kjtimes=견재수 기자] 유아용품업체 돗투돗(대표 송영환)이 제품 불량 논란에 휩싸이며 고객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고객들이 올린 제품 관련 댓글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관련 고객들을 차단하면서 마치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버젓이 물건을 팔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고객들은 30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이 같은 내용을 하소연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게시글과 댓글들이 차단되면서 맘스홀릭에 대한 불만도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14일 유아용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연맹에 의류심사를 의뢰했다’는 글을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올리면서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의뢰인이라고 밝힌 A씨는 돗투돗에서 거즈 블랭킷을 구입한 다른 소비자가 베란다 창문으로 제품을 흔들어 털자 먼지가 심하게 발생하는 동영상을 보고 한국소비자연맹에 불량성 의뢰를 맡기게 됐다고 글을 시작했다. A씨는 “맘카페에 올라온 먼지털이 영상을 보고 의구심이 들어 돗투돗 측에 몇 가지 문의를 했지만 입장을 밝히면서 올린 인증서 피드가 잘 보이지 않았다”면서 “불안할 바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