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풀무원녹즙, ‘노니&깔라만시’ 출시 2 달 만에 100만 병 돌파

[KJtimes=김봄내 기자]풀무원의 신선음료 브랜드 풀무원녹즙(대표 김기석)은 노니를 간편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건강음료 노니&깔라만시발효녹즙이 출시 2달 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 병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풀무원녹즙이 지난 218일 선보인 노니&깔라만시발효녹즙은 일 평균 2만 명이 마시고 있는 풀무원녹즙의 베스트셀러품목 중 하나다. ‘신이 내린 선물로 불릴 만큼 건강에 이로운 성분을 가득 담은 노니에 상큼한 깔라만시과즙을 더하는 색다른 조합으로, 원료의 건강함은 살리고 노니 특유의 강한 맛과 향을 개선했다. 그 결과 제품이 첫선을 보인 2월에만 27만 병이 넘게 판매되며 풀무원녹즙 신제품 중 최단기간 내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 출시 2개월 만에 100만 병을 넘어섰다. 출시 이후 지금까지 판매된 노니&깔라만시 발효녹즙(13cm)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면 롯데월드타워(555m)의 약 234, 에베레스트산(8,848m)의 약 14배 높이에 달한다.

 

 

노니&깔라만시의 인기 비결은 칼슘, 비타민, 폴리페놀 등 다양한 유용 성분을 지닌 노니를 거부감 없이 맛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영양과 맛을 모두 고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향료, 색소 등의 식품첨가물을 일절 넣지 않고, 깔라만시로 상큼한 맛을 내어 매일 아침 가정과 사무실에서 간편하게 배달을 통해 마실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또한, 제철에 수확한 과채 43종을 풀무원의 특허 식물성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종채소발효액을 함께 넣어 채소와 과일 본연의 향긋함도 즐길 수 있다.

 

 

노니를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점도 인기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풀무원녹즙은 천혜의 자연 환경을 가진 베트남에서 농약이나 화학비료 없이 야생에서 자란 노니를 사용했다. 잘 익은 노니 만을 엄선하고 건조분쇄 방식이 아닌 열매를 그대로 갈아 만든 퓨레로 담아 중금속 걱정 없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

 

 

노니&깔라만시의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면,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3040 여성들의 관심도가 특히 높다. 그 결과 특별한 광고·홍보 활동 없이도 자신의 건강을 챙기려는 3040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으며 풀무원녹즙의 베스트셀러 제품으로 성장했다. ‘노니&깔라만시음용 고객 중 여성 고객의 비율은 약 65%, 녹즙을 음용하는 고객 평균 대비 약 10% 높은 수준이다.

 

 

풀무원녹즙은 노니&깔라만시’ 100만 병 돌파를 기념해 다양한 고객 감사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오는 3일까지 풀무원녹즙 홈페이지에서 노니&깔라만시일주일 체험권(5)을약 3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핫딜 이벤트를 운영한다. 일주일 체험 후 제품 주문을 하는 모든 고객에게는 신청 기간에 따라 맛있는 유산균한 박스와 클레어B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증정한다.

 

 

풀무원녹즙의 손민정PM(제품 매니저)”‘노니&깔라만시노니를 맛있고 안전하게 먹을 수 있어 다이어트와 건강에 관심이 많은 3040여성들을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큰 일교차와 미세먼지로 건강 관리가 필요한 봄철에 노니&깔라만시로 건강한 하루를 시작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노니&깔라만시는 풀무원녹즙 가맹점 또는 풀무원녹즙의 배송 판매원인 모닝스텝을 통해 사무실 및 가정에서 매일 신선하게 받아볼 수 있다. 가격은 한 병(130mL)2,000원이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⑤]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돗투돗, 제품 불량 논란에 댓글 차단까지… 고객들 ‘부글부글’
[kjtimes=견재수 기자] 유아용품업체 돗투돗(대표 송영환)이 제품 불량 논란에 휩싸이며 고객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고객들이 올린 제품 관련 댓글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관련 고객들을 차단하면서 마치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버젓이 물건을 팔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고객들은 30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이 같은 내용을 하소연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게시글과 댓글들이 차단되면서 맘스홀릭에 대한 불만도 갈수록 높아지는 분위기다. 14일 유아용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연맹에 의류심사를 의뢰했다’는 글을 네이버 카페 ‘맘스홀릭’에 올리면서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의뢰인이라고 밝힌 A씨는 돗투돗에서 거즈 블랭킷을 구입한 다른 소비자가 베란다 창문으로 제품을 흔들어 털자 먼지가 심하게 발생하는 동영상을 보고 한국소비자연맹에 불량성 의뢰를 맡기게 됐다고 글을 시작했다. A씨는 “맘카페에 올라온 먼지털이 영상을 보고 의구심이 들어 돗투돗 측에 몇 가지 문의를 했지만 입장을 밝히면서 올린 인증서 피드가 잘 보이지 않았다”면서 “불안할 바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