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hy, 국가고객만족도조사 25년 연속 1위 달성


[KJtimes=김봄내 기자]유통전문기업 hy2022년 국가 고객만족도(NCSI,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조사에서 25년 연속 우유·발효유 부문 1위에 올랐다. 처음 조사가 시작된 1988년 이래 연속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국가고객만족도 조사는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한다.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 수준을 다각도로 평가하는 조사다. 기대수준 인지가치 고객충성도 고객유지율 등을 평가해 계량화한다.

 

hy는 냉장 카트 코코를 활용한 품질 높은 배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 세계 최초로 탑승형 냉장 카트를 도입하며 제품 전달 서비스를 신선 서비스 개념으로 확대했다.

 

2021년부터는 3세대 코코3.0’ 개발을 완료하고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형 코코는 20% 늘어난 냉장고 용량 전후방 추돌방지 센서 조향보조장치자동잠금장치 등을 갖춰 주행안전, 제품안전,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기능성 브랜드도 국가고객만족도 1위 수상에 기여했다. hy2월 장과 피부 건강을 함께 케어하는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MPRO4’를 선보였다. 5월에는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하루야채 바이탈 눈건강을 출시했다.

 

2월에는 자체 개발한 개별인정형 소재 꾸지뽕잎 추출물을 대표 브랜드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에 적용하며 제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 hy는 적극적인 개별인정형 소재 개발을 통해 기능성 제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개발한 신소재는 B2B 사업에도 활용한다.

 

김준걸 hy 고객중심팀장은 “‘건강한 삶이라는 기업 미션 아래 11천명 프레시 매니저와 임직원이 노력한 결과 국가고객만족도 25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앞으로도 배송품질을 높이고 안전하고 신선한 제품으로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