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하나투어[039130]가 증권사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진짜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일 삼성증권은 하나투어의 목표주가를 종전 18만원에서 20만원으로 올렸다. 다만 투자의견을 종전의 ‘적극 매수’에서 ‘매수’로 한 단계 낮췄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도 불구하고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시장 기대치)와 유사했다는 평가다. 하나투어는 전날 공시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1091억원과 11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0.89%, 78.9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3분기는 세월호에 의한 기저효과가 기대되고 중국 비자발급 대행 업무의 개시, 시내면세점 사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 등도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하나투어의 목표주가를 15만원에서 19만5000원으로 올리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시내 면세점 사업 추진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여행 성수기 진입에 따른 본업 실적 호조, 해외 자회사 이익 기여도 지속, 면세점 운영 가시화, 중국 비자센터(8월)와 호텔 등
[KJtimes=김승훈 기자]엔씨소프트[036570]에 대한 증권사들의 호평이 계속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3일 HMC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에 대해 2분기 예상을 넘는 양호한 실적은 리니지 등 기존 게임의 견조한 매출 성장과 안정적인 비용 운용이 이뤄낸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26만원에서 30만원으로 올렸다.엔씨소프트는 최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연결기준)이 6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늘고 매출액은 2175억원으로 1.7% 증가했다고 밝혔다.황성진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2분기에는 리니지, 리니지2, 블레이드앤소울 등 기존 게임들에서 고른 성과가 나타났다”며 “신규 모바일 게임 등의 론칭도 올해 말에서 내년에 걸쳐 가시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같은 날, 하나대투증권도 엔씨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3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한국타이어[161390]와 삼성화재[00081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IBK투자증권은 한국타이어의 목표주가를 기존 6만2000원에서 4만8000원으로 내렸다. 이익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하락한 2011억원, 영업이익률은 2.7%포인트 떨어진 12.4%를 기록했다”며 “경쟁심화에 따른 매출 감소 및 판매 단가 하락으로 영업이익이 3개 분기 연속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3분기 영업이익으로는 지난해 동기보다 23.3% 감소한 2117억원을 예상한다”면서 “다만 한국타이어가 인수한 한온시스템(옛 한라비스테온공조)의 지분법손익 반영 전망에 따라 영업외수지는 개선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같은 날, 동부증권은 삼성화재의 목표주가를 기존 35만6000원에서 34만원으로 낮췄다. 이는 일반 보험 실적 감소 우려 등을 반영한데 따른 것이다. 동부증권은 다만 일회적 투자 손실 발생 가능성 감소와 배당 증가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병건 동부증
[KJtimes=김승훈 기자]증시 상황이 안갯속을 걷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관심이 코스닥지수에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800선 돌파’를 바라보던 코스닥지수가 ‘700선 붕괴’를 염려해야 상황으로 내몰린 탓이다. 미국 금리인상 우려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세가 가속화되자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이 큰 중소형주 위주로 차익 매물이 쏟아지며 800선을 목전에 뒀던 코스닥지수는 700선 붕괴를 염려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특히 코스닥 상승을 견인하던 바이오·제약주들이 강한 조정을 받으며 시장 전체가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월 평균 일중 지수 변동성은 2.19%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6월(2.36%) 이후 2년여 만에 최대치다. 지수 변동성은 일중 고가와 저가의 차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으로 나눈 것이다. 이는 당일 평균치에서
[KJtimes=김승훈 기자]CJ대한통운[000120]과 CJ프레시웨이[051500]가 증권사의 주목을 받고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일 NH투자증권은 CJ대한통운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24만원의 목표주가를 유지했다. 올해 2분기에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과 성장세를 이뤘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실제 이 회사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조2665억원과 44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2%, 14.6% 증가했다.송재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CJ대한통운이 2분기에 전 사업부문에서 외형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이익은 안정적이지만 일회성 비용 증가와 해운항만 산업 손익 악화로 시장 전망에는 못 미쳤다”며 “해운항만의 부진을 반영해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을 각각 4.9%, 4.3%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송 연구원은 “그러나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률도 각각 4.2%, 4.5%로 양호
[KJtimes=김승훈 기자]올 들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원톱 체제로 가는 듯했던 경영 구도는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의 반격을 계기로 급변하고 있다.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지난달 27일 일본행을 통해 차남인신 회장의 일본롯데홀딩스 임원해임을 지시했다. 그리고는 같은 달 30일과 31일 국내 방송매체를 빌려 한일 롯데 경영권에서 손을 떼라는 강경 메시지를 띄웠다.신동빈 회장은 이에 강경한 태도로 맞서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달 31일 조부인 신진수씨 제사에도 참석하지 않은 채 일본에 머물고 있다. 그러면서 한일 롯데그룹의 핵심 지배 고리인 일본롯데홀딩스에서의 영향력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 회장의 이런 행보는 향후 경영권 다툼의 승부처인 일본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승리하는 법적인 해결책 모색으로 비쳐지고 있다.
[KJtimes=김승훈 기자]“단기적으로 코스닥의 조정 양상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장기적으로 코스닥은 상승 추세를 이어가 숨 고르기 후 반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코스닥시장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 같은 진단은 올해 상반기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코스닥시장의 상승세가 꺾였다는데 기인한다. 실제 코스닥시장에선 시가총액이 16조원 이상 허공으로 증발했다. 지수가 순식간에 8% 넘게 급락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월간 수익률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가 지난달 31일 725.06으로 1개월 전보다 2.32% 하락했다. 미국 금리 인상 우려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과 국내 기업 실적 부진 등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하며 급격하게 주저앉은 것이다. 사실 코스닥은 올해 1월 8.95% 급등하고서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31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으로는 삼성에스디에스[018260](삼성SDS)와 삼진제약[00550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31일 삼성SDS의 목표주가를 종전 32만원에서 3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리고 후계구도 정비 과정 측면의 기대감, 글로벌 솔루션 사업의 잠재력 등을 감안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내년 이후 실적 개선 추이가 지속될 전망에 따른 것이다. 삼성SDS는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9595억원과 1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5.3%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SDS의 2분기 실적은 우리의 전망치에 비해 매출액은 7.0% 미달인 반면 영업이익은 13.4% 초과했다”며 “수익성 낮은 공공 및 대외금융 철수로 매출은 감소한 반면
[KJtimes=김승훈 기자]기업은행[024110]의 올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 전망치가 올라갔다. 31일 KTB투자증권은 기업은행의 순이익 전망치를 기존 1조901억원에서 1조1290억원으로 3.4% 상향 조정하는 한편 내년 순이익 전망치를 4.6% 올렸다. 또 이 은행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각각 ‘1만9000원’과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기대에 부합하는 양호한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기업은행은 전날 연결 기준으로 올해 상반기에 676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4억원(9.3%) 증가한 실적이다.김은갑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하락할 것이나 고금리예금 만기 도래 효과로 2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은행 부실채권(NPL) 비율과 기업대출 연체율이 각각 1.36%와 0.49%로 전 분기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31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삼성SDI[006400]가 눈에 띈다. 이날 메리츠종금증권은 삼성SDI의 목표주가를 기존 16만5000원에서 13만5000원으로 내렸다. 이는 올해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쳤으며 하반기에도 수익성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SDI의 2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6% 감소한 1조8000억원이었고, 영업손실은 3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지목현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은 소재 부문 호조와 중대형전지 적자 축소에도 소형전지의 수익성 부진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며 “3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증가한 1조9000억원, 영업이익은 2.9% 늘어난 19억원으로 각각 전망한다”고 밝혔다. 지 연구원은 “3분기에 소형전지는 삼성전자 신모델 출시 영향으로 수익성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편광필름 등 TV 관련 제품은 판매가격 인하 압력 가중에 따라 수익성이 둔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네이버)[035420]의 목표주가도 내려갔다. 하이투자증권은 네이버의 목표주가를 기존 75만원에
[KJtimes=김승훈 기자]올해 2분기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내놓은 롯데케미칼[011170]에 대한 투자의견이 ‘비중축소’로 우지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1일 한국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한 투자의견을 이처럼 제시하면서 호재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보다 259% 증가한 6398억원으로 우리의 추정치와 컨센서스를 40% 이상 웃돌았으며 2분기 실적은 서프라이즈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의 주요 동인인 대규모 공급 차질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도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시아와 유럽의 나프타분해설비(NCC)의 대규모 공급 차질에 투기성 선구매 활동까지 가세되며 부타디엔의 가격 상승세가 2분기 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며 “아시아와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가에 조선업종에 대한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증권사들이 대우조선해양[042660], 삼성중공업[010140], 현대중공업[009540] 등 국내 ‘빅3’ 조선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일제히 하향조정하고 나섰다. 30일 증권가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이번 분기에 대규모 손실이 반영됐음에도 여전히 추가로 부실이 발생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해양플랜트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고 수주 부진도 지속되고 있어 하반기 실적 전망도 밝은 편은 아니다. 실제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3조318억원의 영업 손실을 냈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도 각각 1조5481억원과 1710억원의 적자를 냈다. 대형 3사의 손실 합계가 4조7509억원에 달해 사상 최악이었다. 현대미포조선은 영업이익이 15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흑자전환했다.그러면 조선업종에 대한 증권사들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에 대한 증권사들의 반응이 차갑게 돌아서고 있는 분위기다. 올해 2분기에 실망스러운 실적을 냈다며 목표주가를 일제히 하향조정하고 있다는 게 그 이유다. LG전자는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13조9257억원과 244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7.6%, 60%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증권은 30일 LG전자의 목표주가를 종전 6만원에서 4만8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중립’으로 유지했다. 3분기 연결(이노텍 제외) 기준 영업이익 전망치도 종전 2290억원에서 1510억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NH투자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를 종전 6만3000원에서 5만5000원으로 내렸다. 아울러 TV와 휴대전화 부문 실적 부진을 반영해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28.2%, 19.0% 낮췄다. 한국투자증권도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7만5000원에서 5만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조성은 삼성증권 연구원은 “주요 신흥국의 환율 변동성과 하드웨어 경쟁력 하락으로 부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며 “하드웨어 경쟁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로 주가 반등은 제한적”이라고
[KJtimes=김승훈 기자]한미약품[128940]의 올해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도는 어닝쇼크(실적충격) 수준이지만 기술 수출 기반의 성장성이 주목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NH투자증권은 한마약품에 대해 이같이 분석하고 2분기에 HM71224 계약금 유입에도 본업 부진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영향으로 충격적인 실적을 냈다고 지적했다.전날 NH투자증권은 한미약품이 헬스케어업종 내 역대 최대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55만원에서 73만원으로 올렸다. 하지만 전날 이 회사의 주가는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로 18.4% 급락했다.한미약품은 별도 기준으로 올해 2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6% 늘어난 1994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32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적자 전환했다. 순이익은 79억원으로 66.0% 증가했다.이승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 실적보다 대규모 기술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증권은 발 빠르게 움직이며 '중국 투자' 비중 축소에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면서 시장을 선도한 삼성 금융 계열사들의 전략 수정으로 다른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도 중국 투자 축소에 나설지 주목되고 있다. 삼성증권은 지난 4월 말부터 프라이빗뱅커(PB) 등을 통해서도 중국 투자자를 상대로 투자 비중을 줄일 것을 권유해 왔다. 중국펀드를 통해 평가 이익을 낸 펀드 투자자들에게도 환매를 유도하고 있는 중이다. 30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의 이 같은 행보는 삼성그룹이 최근 중국 증시가 폭락장세를 연출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자 삼성증권에 ‘옐로카드’를 꺼내 들은 것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실제 삼성그룹 금융 계열사 사장단은 최근 열린 회의에서 삼성증권에 중국 증시 변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