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양띠' 재계 인사 관심...환갑 맞는 CEO 절반 넘어

[KJtimes=김봄내 기자]2015년 을미년(乙未年) 청양(靑羊)의 해를 앞두고 '양띠' 재계 인사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2일 재벌닷컴이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 법인 2117개사(유동화전문회사와 비공개회사 제외)의 임원을 조사한 결과 양띠 해에 태어난 대표이사와 사장급 이상 최고경영자(CEO)는 모두 281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15년 환갑을 맞는 1955년생이 159명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6.6%를 차지했고 1967년생 72(25.6%), 1943년생 34(12.1%), 1931년생과 1979년생은 똑같이 8명씩을 기록했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허동수 GS칼텍스 이사회의장, 박용현 두산건설[011160] 회장, 천신일 세중그룹 회장, 양규모 KPX그룹 회장, 지대섭 광림[014200] 회장, 박도문 대원그룹 회장, 서민석 동일방직[001530] 회장, 신용기 원림[005820] 회장 등은 모두 1943년생 양띠 동갑이다.

 

내년에 환갑을 맞는 1955년생 '양띠 회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정몽원 한라그룹 회장, 조동길 한솔그룹 회장, 구자용 E1[017940] 회장, 담철곤 오리온[001800] 회장, 정몽윤 현대해상화재 회장, 김호연 빙그레[005180] 회장,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구자철 한성 회장, 우석형 신도리코[029530] 회장, 허명수 GS건설[006360] 부회장, 김량 삼양홀딩스[000070] 부회장 등이다.

 

1931년생인 정동섭 동일제지[019300] 회장과 민영빈 YBM시사 회장, 심정구 선광[003100] 명예회장, 권재기 세명전기[017510] 회장, 염홍섭 서산 회장은 84세의 나이에도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1967년생 양띠 동갑인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의장과 김택진 엔씨소프트[036570] 사장은 30대 초반 나이에 정보기술(IT) 벤처를 설립해 성공신화를 썼고, 한때 교육열풍을 몰고온 손성은 메가스터디 대표이사도 동갑이다. 1979년생인 최성원 동양고속[084670] 회장은 30대 젊은 나이에 최고경영자에 오른 주인공이다.'

 

대기업 CEO로 활약하는 양띠 경영인 중에선 1955년생이 많다.

 

삼성그룹 계열사 CEO로는 김창수 삼성생명[032830] 사장과 이상훈 삼성전자[005930] 사장, 장원기 삼성전자 사장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차그룹에선 강학서 현대제철[004020] 사장과 정진행 현대자동차[005380] 사장, 김위철 현대엔지니어링 사장, 여승동 현대다이모스 사장, 윤준모 현대위아[011210] 사장 등이 동갑내기 전문 경영인으로 꼽힌다.

 

SK그룹에선 박장석 SKC[011790] 부회장과 이인석 SK케미칼[006120] 사장, 최광철 SK건설 사장이 CEO로 활약 중이다. LG그룹의 한상범 LG디스플레이[034220] 사장과 박영기 LG화학[051910] 사장, 롯데그룹의 황각규 롯데쇼핑[023530] 사장과 송용덕 호텔롯데 대표이사, 김치현 롯데건설 사장, 김영순 롯데알미늄 대표이사 등도 1955년생이다.

 

전병일 대우인터내셔널[047050] 사장과 석태수 한진해운[117930] 사장, 고재호 대우조선해양[042660] 사장, 장인환 포스코[005490] 대표이사 부사장, 서영세 포스코특수강 대표이사, 이해선 CJ오쇼핑[035760] 사장, 최병수 한라[014790] 사장, 이건영 빙그레 사장, 이윤호 쌍용양회[003410] 사장, 노중석 예스코[015360] 사장, 유을봉 세아특수강[019440] 사장, 한승구 계룡산업개발 사장도 2015년에 환갑을 맞는 재계의 양띠 CEO이다.

 

연말 인사에서 사장에 오른 여상덕 LG디스플레이 사장과 김창범 한화케미칼[009830] 사장, 강환구 현대미포조선[010620] 사장, 송범 대림C&S 사장, 고춘석 GS[078930] EPS 대표이사, 최일성 KT[030200] 부사장과 지난달 KB금융지주 회장에 오른 윤종규 회장 등도 양띠 경영인 대열에 새로 합류해 주목된다.

 

1967년생인 박세훈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사장과 이한상 SK커뮤니케이션즈[066270] 사장은 젊은 나이에 대기업 계열사 CEO에 올랐고, 최세훈 다음카카오[035720] 대표이사도 주목받는 IT업계의 젊은 CEO로 꼽힌다.'

 

재계의 차세대 주자 중에서도 양띠가 적지 않다.

 

허정수 GS네오텍 회장의 아들 허철홍 GS 과장과 천신일 세중[039310] 회장의 장남 천호전 세중 사장, 김근수 후성그룹 회장의 아들 김용민 후성그룹 사장,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의 아들 박서원 빅앤트 사장 등은 떠오른 차세대 양띠 주자들이다.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의 아들 새봄 씨와 최창영 고려아연[010130] 회장의 아들 정일 씨, 홍영철 고려제강[002240] 회장의 아들 석표 씨, 단재완 한국제지[002300] 회장의 아들 우영 씨도 차세대 주자로 부상한 재벌가 2세로 알려졌다.

 

또 재벌가 양띠 여성으로는 조양래 한국타이어[161390] 회장의 딸 희원 씨와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의 장녀 민정 씨, 최병민 깨끗한나라[004540] 회장의 부인 미정 씨, 김남호 동부제철[016380] 부장의 부인 차원영 씨,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의 부인 혜영 씨, 김정돈 미원상사[002840] 회장 부인 정경순 씨 등이 있다.

 

 









[코로나 라이프] "코로나19 영향 커" 디지털화로 변화하는 보험업계
[KJtimes김지아 기자]경제 전반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이라는 전문가들의 진단도 있고, 대세 흐름이라는 호의적인 평가도 있다.이같은 코로나발(發)디지털화 시대를 맞으면서 일각에서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만들어진 금융권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나오고 있다. 은행이 '디지털 유니버셜 뱅크'로, 보험사는 '헬스케어 금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대거 정비해야 한다는 것. 이와 관련금융위원회는 지난 8월 제2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열고 금융사의 플랫폼 발전 지원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업무 범위 제한 및 자회사 투자 규제 등을 합리화하겠다는 게 핵심. 앞으론 은행이 플랫폼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수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현재 금융사는 핀테크 기업과 달리 '금산분리 원칙' 등에 따라 고유한 업무가 아닌 다른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보험 업계를 위한 규제 완화도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보건복지부의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상 보험사의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출시가 어려운 상황이다.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에 근거한 상담 및 조언이나 일상적 건강습관 개선을 제안하는 것도 할 수 없기 때문

[현장+] "한국마사회는 ESG경영 확산중" 폐전자제품 자원 선순환 체계구축
[KJtimes김지아 기자]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가 자원순환을 통한ESG 경영에 앞장선다. 한국마사회는지난 9월21일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전자지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하 'E-순환거버넌스')과 함께 한국마사회 본관에서 '폐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 최원일 경영관리본부장과 정재웅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본부장, 정덕기 E-순환거버넌스 이사장 및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마사회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친환경적 회수와 재활용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세부 내용은 △(마사회)폐전기·전자제품을 E-순환거버넌스 인계재활용 적극협조 △(한국환경공단)원활한 회수체계 구축 위한 제도지원, 실적관리, 적정처리 모니터링 △(E-순환거버넌스)폐전기·전자제품을 안정적 운반, 재활용 체계 마련 및 제반비용 부담 등이다. 마사회는 협약과 함께 폐전자제품 수거 현장 캠페인을 지난 9월23일부터 10월2일까지 진행중이다. 캠페인 주제는 '마사회와 함께 하는 자원순환주간'이다. 마시회는 2주간 사용하던 폐전기·전자제품을 경마공원에 수거함에 제출하면 경마공원 무료입장권, 머그컵 등 기념품을 매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