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경기도채널] 경기도 어린이날 행사, 유원지부터 박물관까지 '풍성'

[KJtimes=김봄내 기자]94회 어린이날인 5일 경기지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볼거리, 즐길 거리가 시청과 유원지, 박물관 등에 마련된다.

 

성남시는 어린이날 당일에 시청 광장을 행사장과 놀이터로 개방한다.

 

오전 930분 기념식을 시작으로 성남소년소녀합창단의 공연, 버블쇼, 뮤지컬 갈라쇼 등이 오후 4시까지 펼쳐진다.

 

어린이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할 로봇, 창의, 미술, 과학 등 다양한 놀이체험을 할 수 있는 부스도 운영된다.

 

수정구 소재 성남초등학교에서는 성남지역아동센터연합회가 주관하는 '달리자 얘들아, 푸른 들판을' 행사가, 중원구에 있는 중부초등학교에서는 사단법인 푸른학교가 마련한 '어린이날 푸른 한마당' 축제가 개최된다.

 

용인시청 광장에서도 '어린이날 대축제'가 열린다.

 

지역 어린이집연합회가 주관하는 축제는 어린이 뮤지컬·매직 퍼포먼스 등 축하공연과 지진재난·교통재난·자전거 운전면허 체험 등 '건강한, 안전한, 신나는'을 주제로 한 체험 행사로 꾸며진다.

 

제기차기, 훌라후프 돌리기 등 온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가족 올림픽도 열려 어른도 동심의 추억을 되새길 수 있다.

 

여주시는 공립수목원인 매룡동 황학산 수목원에서 화분 나눔 행사를 연다.

 

수목원을 찾는 가족 단위 입장객에게 무료로 화분을 나눠주고 열매, 꽃잎을 비롯한 식물재료로 액자 등 공예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유명 유원지들도 어린이날을 기념해 풍성한 이벤트를 마련했다.

 

용인 에버랜드는 어린이날 카니발 광장에서 국가대표 치어리딩팀인 '임팩트'와 어린이 치어리딩팀 '레인보우'가 역동적인 애크러배틱 액션과 스턴트 치어리딩쇼를 선보이는 합동 공연을 펼친다고 밝혔다.

 

6일에는 육군 55사단 장병이 특공무술과 군악대 공연을 선사하며, '라이브 홀로그램 씨어터'에서는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EBS 인기 캐릭터인 번개맨, 방귀대장 뿡뿡이 등이 등장하는 어린이 뮤지컬 홀로그램 쇼를 연다.

 

'우당탕탕 동물원 놀이터' 축제가 열리는 과천 서울대공원은 동물 탈을 쓴 연기자와 기념사진 찍기, 공룡알 굴리기, 돛단배 레이스 등이 펼쳐진다.

 

당일 어린이 입장료는 무료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도 5일부터 이틀간 '놀이로 만나는 시간여행' 행사를 연다.

 

샌드아트 애니메이션 공연, 마술쇼, 난타공연, 인형극, 저금통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5일부터 나흘간 이어지는 8일까지 박물관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안산 경기도미술관도 5일 하루 '알록달록 미술관'이라는 특별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미술관 전관과 주변 야외공간에서 색실을 손가락으로 엮어 작품을 만드는 '알록달록 마음 엮기', 그림책 작가 앤서니 브라운의 '행복한 미술관' 공연극,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만화극장'을 운영한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