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올해의 식품 키워드는 엄마의 마음 담은 ‘P.R.I.D.E’

[KJtimes=김봄내 기자]2016년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도 소비자들은 증거 중독소비 형태를 보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즉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소비를 위해 브랜드 및 제품에 대해 꼼꼼하게 따져보고 신뢰성 있는 증거를 수집한 후 구매 결정을 내리고 있다.

 

주부 소비자들이 특히나 꼼꼼하게 따져보는 식음료 업계에서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맞서 ‘P.R.I.D.E’를 갖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P.R.I.D.E’Premium(프리미엄), Real(향이 아닌 진짜 성분), Inside(원료), Delicious(), Easy(간편함)을 말한다.

 

프리미엄(Premium)을 지향한다!

 

식음료 업계는 주부들의 까다로운 눈높이에 맞춘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이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차별화된 식감과 풍부한 맛으로 주부들의 이목을 사로잡은 과일음료가 있다. 코라-콜라사의 세계적인 주스음료 브랜드 미닛메이드의 과일 속껍질을 함유한 프리미엄 과일음료 미닛메이드 홈스타일이다.

 

미닛메이드 홈스타일은 진한 과즙과 부드러운 과일 속껍질 펄프를 넣어 아삭한 식감과 풍부한 맛을 동시에 살린 과일음료로, 달콤쌉싸름한 맛의 미닛메이드 홈스타일 자몽과 비타민 C가 함유된 미닛메이드 홈스타일 오렌지100’ 두 가지 맛으로 구성됐다.

 

코카-콜라사 관계자는 과일 속껍질을 함유한 미닛메이드 홈스타일은 과일의 생생함과 풍부한 맛, 간편함을 모두 갖췄다미닛메이드 홈스타일은 제품 구매 시 속까지 꼼꼼히 따져보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며 프리미엄 과일음료 시장의 새로운 판도를 열고 있다고 전했다.

 

프리미엄 디저트로는 CJ제일제당 쁘띠첼 스윗롤이 대표적이다. 쁘띠첼 스윗롤은 생크림과 우유를 넣어 만든 크림을 촉촉한 케이크 시트로 감싼 냉장 디저트 롤케이크로, 부드럽고 신선한 맛이 특징인 제품이다. 크림의 비율을 60%까지 끌어올려 백화점, 디저트 카페, 전문 베이커리 매장 제품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진짜(Real)를 담았다!

 

과일 향 첨가물이 아닌 진짜 과일을 담아 깐깐한 주부들을 마음을 훔친 제품도 눈에 띈다.

 

요거트 전문기업 풀무원 다논(Danone Pulmuone)이 온 가족의 입맛을 위한 새로운 타입의 유럽식 그릭 요거트에 싱싱한 과일을 담은 '다논 그릭 딸기바나나', '다논 그릭 베리믹스' 2종을 선보였다.

 

다논 그릭 요거트는 차별화된 새로운 맛의 건강한 간식으로 100여년의 발효기술력을 자랑하는 프랑스 다논(Danone)의 유산균이 함유돼 장 건강까지 챙길 수 있다. 또한, 엄마가 좋아하는 깔끔한 플레인 맛과 아이가 좋아하는 과일 맛까지 온 가족의 입맛에 맞게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좋은 재료(Inside)로 만들었다!

 

실제로 제과업계에서는 일반 과자보다 가격은 높지만 보다 좋은 원료를 사용해 맛을 고급화한 프리미엄 제과 브랜드들이 주부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다.

 

최근 롯데제과 프리미엄 과자 브랜드 팜온더로드는 녹차의 쌉싸름한 맛을 살린 팜온더로드 그린초코코와 체다 치즈 맛 팜온더로드 까망치즈타르트를 새로 선보였다. ‘그린초코코는 제주도에서 1년에 한 번 수확하는 첫물 녹차 분말로 만든 쿠키에 밀크 초콜릿을 더했고, ‘까망치즈타르트는 덴마크산 체다 치즈와 크랜베리 원물을 겹겹이 쌓아 올려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다.

 

특유의 맛(Delicious)을 강조했다!

 

건강한 재료로 만든 제품들이 맛이 없다는 편견과는 달리, 최근 재료 특유의 맛있는 맛과 영양까지 살린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켈로그의 리얼 그래놀라는 곡물의 진한 고소함이 가득한 그래놀라와 다섯 가지 진짜 과일이 들어 있어 풍부한 영양과 맛을 모두 갖춘 제품이다. 10대 슈퍼푸드로 잘 알려진 귀리를 포함해 쌀, , 옥수수 등의 네 가지 곡물을 꿀에 섞어 오븐에서 맛있게 구운 그래놀라가 70%나 함유된 프리미엄 제품으로 풍부한 곡물의 영양과 진한 고소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간편하게(Easy) 즐긴다!

 

또한 식음료 업계에서는 집에서는 물론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주부들 취향 저격에 나섰다.

 

돌 코리아는 신선한 바나나와 촉촉한 쿠키, 부드러운 크림이 조화를 이루는 프리미엄 디저트 '바나나 푸딩'을 출시했다. 바나나를 생으로 넣어 칼륨과 비타민C, 섬유질 등 영양을 더한 디저트로 소포장 용기에 작은 사이즈의 스푼을 함께 제공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