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감 키우는 ‘일본은행’…증시 최대 주주 등극(?)

공적연금 제칠 것으로 관측…3월말 기준 도쿄 1부 증시 시가기준 4.7% 보유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주식시장에서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의 존재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일본은행은 일본 주식에 투자하는 상장투자신탁(ETF)을 연간 6조 엔(60조 원) 정도 사들이고 있다. 일본은행의 3월말 현재 시가기준 ETF 보유잔액은 28조 엔(280조 원)이 넘는다. 이는 도쿄(東京)증시 1부 상장주식 시가총액의 4.7%에 해당한다.


일본은행이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ETF 매입을 계속하면 내년 11월말에는 보유잔액이 40조 엔으로 불어나 현재 1부 상장주식 시가총액의 6% 정도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을 제치고 최대 주주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17일 보도했다.


그동안 기관투자가와 외국인이 주도해온 일본 자본시장을 중앙은행이 주도하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서는 셈이다. 개별기업의 주주분포를 보면 일본은행의 존재감이 한층 두드러진다. 일본은행이 발표하는 매입기준 등을 토대로 실질보유액을 환산해보면 일본은행은 이미 닛토(日東)전공과 파낙, 오므론 등 23개사의 최대 주주가 된 것으로 보인다.


상위 10위 이내 주주를 가리키는 '대주주' 기준으로 보면 3월말 현재 절반에 가까운 상장기업 49.7%의 대주주인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자본시장은 자본규제완화에 따른 경영권 방어 등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상호보유에서 개인과 은행, 보험회사 등이 주역으로 등장한 1단계, 해외투자가의 영향력이 급속히 커진 2단계를 거쳐 일본은행이 시장의 주역이 된 현재의 3단계를 맞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가 분석했다.


일본은행이 공적연금을 제치고 최대주주가 되는 내년말 일본 자본시장은 전환점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일본은행은 시장의 불안한 움직임을 억제, 2% 물가상승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금융정책의 하나로 일본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16일 국회답변에서 "기업과 가계의 (소비, 투자 등) 전향적인 경제활동 지원"을 강조했다. 높은 주가는 투자가의 심리를 밝게 하는 등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다만 순투자목적으로 주식을 보유하는게 아닌 만큼 일본은행이 시장의 주역이 되는데 따른 부작용도 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일 발표한 경제심사보고서에서 일본은행의 ETF 매입이 "시장의 규율을 해치기 시작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일본은행이 ETF를 통해 경영실적에 관계없이 주식을 폭넓게 사들이고 있어서다. 도쿄 증시 1부에서는 과거 10년간 5번 이상 적자를 낸 기업이 54개사에 이른다. 신일본과학 처럼 8번이나 적자를 낸 기업도 있다.


일본은행이 최대 주주가 된 것으로 보이는 한 기업의 간부는 "주식을 보수로 줘 종업원의 사기를 높이려 해도 일본은행의 매입으로 주가가 내려가기 어려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주가가 떨어져 일본은행의 자기자본이 잠식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통화의 신뢰도가 흔들릴 가능성도 있다.


아마미야 마사요시(雨宮正佳) 일본은행 부총재는 3월 국회에서 "닛케이(日經) 평균주가가 18천 이하로 내려가면 보유 ETF의 시가가 장부가를 밑돌게 된다"는 시산결과를 보고했다.


17일 오전 현재 22236엔 대인 현재의 주가 수준과는 거리가 있지만 장차 경기가 후퇴국면을 맞을 경우 잠재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만기가 되면 상환하는 국채나 회사채와는 달리 ETF에는 만기가 없다. 잔고를 축소하려면 시장에서 매각해야 하지만 주가하락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장기간에 걸쳐 신중히 매각해야 한다.


자승자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런 상황에 대해 고노 류타로(河野龍太郎) BNP파리바증권 주임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행은 (매각을 포기하고) 움켜쥐고 있을 수 밖에 없게 됐다"고 논평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