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관전포인트]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주목할 나라는 ‘이곳’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자국 에너지 역량 개발 확대 방안 추진 중
이스라엘은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 계속 성공 진행
미래먹거리 바짝 신경 쓰는 사우디…에너지 미래 ‘수소’가 상당한 비중 차지 전망
오만은 그린 암모니아 생산설비 확보 계획…구체적 실행 계획이 안 나온 상태
결론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야기할 것으로 관측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중동-지중해-유럽 라인에서 주목할만한 나라는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 등이다. 현재 이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모멘텀으로 해서 자국의 에너지 역량을 개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4년 텔아비브 인근 지중해 해역에서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에 계속 성공하고 있다. 개발한 천연가스의 그리스·이태리 등 유럽판매 추진은 미국의 훼방으로 불발됐지만 중동전 상대였던 이집트·요르단과 장기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게다가 터키에도 수출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중동 공백을 에너지로 조금씩 메우는 모양새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틈타 유럽에 판매를 추진 중이다. 독일 등에 LNG터미널을 건설하면 소량이나마 이스라엘산 천연가스가 공급될 예상이다.


사우디는 최근 탈 이슬람원리주의 정책의 점진적 도입을 통해 비아랍권에 이미지 개선을 추진 중인 것과 탈 화석연료자원 움직임이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탈 이슬람원리주의를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것이 국가적 인재개발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고 석유고갈 등에 대비해 관광자원 개발과 수소 관련 산업을 육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국영석유회사 아람코 상장(20191211) 전후해 그 당시까지 아람코 보유자산 중 최고 가치로 평가받던 세계 최대 유전 가와르유전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미래먹거리에 바짝 신경을 쓰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 유정에서 배출되는 천연가스를 그냥 태워버리는 것이 관례였다가 천연가스를 포집, 저장, 수출을 늘리는 것으로 체계가 바뀐 시기도 이와 비슷하다.


사우디의 에너지 미래에는 수소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과 연계한 서울의 43.8배 규모의 부지에 세계 최대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건립 중인데 오는 2025년부터 일산 650, 237250톤을 생산할 계획이고 점차 설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세계 최대 가스전으로 알려진 자푸라가스전 개발에 U$ 1100억을 투자하고, 블루수소(천연가스 개질로 얻는 수소 또는 부생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매장하는 경우) 생산설비를 갖춰 2030년부터 연간 400만톤을 수출할 계획이다.


오만은 그린 암모니아 생산설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수소는 천연가스를 개질해서 얻을 수도 있지만 천연가스를 화학적으로 처리해 암모니아를 만든 후 질소(N)를 제거해도 얻을 수 있다. 액화수소는 영하 253도가 돼야 하지만 액화암모니아는 영하 33도면 되고, 에너지밀도도 액화암모니아가 액화수소보다 1.7배 높다. 다만 아직은 구체적 실행 계획이 안 나온 상태다.



UAE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유사한 강도로 수소에너지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20211월 아부다비의 ANDOC, ADQ, 무비달라 등이 수소동맹을 맺고 전력·모빌리티·제조업 등의 수소사용을 가속화 하는 로드맵을 확립했다.


아부다비의 마스다르에서는 녹색수소 시범공장을 설립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ANDOC에서는 수소 생산량을 기존의 연간 30만톤에서 1차로 50만톤 이상으로 증설한 후 차후 추가 증설할 계획이다.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태양열 발전소 프로젝트는 2030년에 5GW 규모로 전기를 생산해 수전해 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인데 독일 지멘스, 일본 마루베니 등과 합작으로 진행 중이다.


결론적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의 구 영토 회복 전쟁이라는 측면보다는 에너지의 러시아 의존도를 줄이는 방안 강구와 신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 등을 원래 계획과 비교해 중간과정을 건너뛰고 조기에 적극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자국 경제와 안보를 강화하는 방향 등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보이며 지금 상황으로는 타임라인이 짧아질 것은 확실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관전포인트]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주목할 나라는 ‘이곳’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중동-지중해-유럽 라인에서 주목할만한 나라는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 등이다. 현재 이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모멘텀으로 해서 자국의 에너지 역량을 개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4년 텔아비브 인근 지중해 해역에서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에 계속 성공하고 있다. 개발한 천연가스의 그리스·이태리 등 유럽판매 추진은 미국의 훼방으로 불발됐지만 중동전 상대였던 이집트·요르단과 장기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게다가 터키에도 수출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중동 공백을 에너지로 조금씩 메우는 모양새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틈타 유럽에 판매를 추진 중이다. 독일 등에 LNG터미널을 건설하면 소량이나마 이스라엘산 천연가스가 공급될 예상이다. 사우디는 최근 탈 이슬람원리주의 정책의 점진적 도입을 통해 비아랍권에 이미지 개선을 추진 중인 것과 탈 화석연료자원 움직임이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탈 이슬람원리주의를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것이 국가적 인재개발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고 석유고갈 등에 대비해 관광자원 개발과 수소 관련 산업을 육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