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리포트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환경단체 “정부, 시멘트 소성로 폐기물처리 늘리기 전 환경규제 강화해야...정보공개·등급제 도입 ‘폐기물관리법’ 개정” 촉구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 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의 폐기물 사용량만 늘리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시멘트에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소비자들이 제대로 알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기준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는 폐기물 시멘트로부터 시민 안전을 확보하는 정책과 입법에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는 시멘트 소성로의 폐기물처리를 늘리기 전에 환경규제기준부터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환경단체들은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에서 매립과 소각 중심의 폐기물 처리를 열분해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진 환경부장관도 취임 일성으로 화석연료 대신 폐기물 순환자원의 사용을 늘리겠다고 말했다”며 “한 장관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폐기물 시멘트’의 법적 안전기준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사회적 우려를 해소하는 정책 대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2007년 1월 31일 이전 설치된 시멘트 소성로가 대부분인 우리나라의 질소산화물 배출허용기준은 270ppm으로 폐기물처리 소각시설은 50ppm인데 비해 너무 느슨하다”면서 “질소산화물은 인간과 자연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미세먼지·산성비 원인’ 중 하나로 독일 등 선진국은 우리나라보다 3.5배 강한 약 77ppm을 허용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만큼, 유해 물질 배출기준을 소각시설과 같은 기준으로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부는 지난해 국정감사 지적에 따라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 대상 업종에 시멘트 제조업을 추가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 2위 산업인 시멘트 제조업이 조속히 추가하고, 소각시설은 하루 100t 이상 폐기물을 처리할 때 환경영향평가 대상으로 적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멘트 제조업도 환경영향평가법의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에 포함해 형평성을 맞춰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국회는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을 조속히 통과하라고 했다.


환경단체들은 “시멘트는 인분을 포함해 폐플라스틱·폐타이어·폐비닐·폐유·석탄재·오니류 등 88종이 넘는 폐기물을 원료나 연료로 사용해 만든다”면서 “국민 건강에 치명적인 중금속이 검출된 만큼, 폐기물 시멘트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시멘트 제조 시 사용된 폐기물의 종류와 원산지, 사용량, 함량 성분을 시멘트 포대에 표시해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투입되는 폐기물을 제한해 주택용 시멘트와 산업용 시멘트로 분리 생산, 판매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시멘트 정보공개와 등급제 도입을 위한 폐기물관리법 개정안(노웅래 의원 대표 발의)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