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다음카카오, '샵(#)검색' '채널' 서비스 공식 출시

[KJtimes=김봄내 기자]다음카카오는 카카오톡 '(#)검색''채널' 서비스를 공식 출시하며 모바일 검색에 최적화된 '카카오검색'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샵검색은 이용자가 카카오톡에서 대화하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채팅방에서 바로 검색해보고 친구에게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다.

 

카카오톡 대화 입력창의 #() 버튼을 누르면 검색창으로 바로 전환돼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한 뒤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 내 '공유하기'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채팅방에 바로 검색 결과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 검색이 친구들과의 대화를 이어가거나 새로운 대화 소재로 이용된다는 점을 고려해 공유 기능에 최적화했다.

 

모바일에서 이용자가 검색하는 패턴을 보면 시의성 높은 인물이나 콘텐츠 확인, 만남을 위한 장소 등을 주로 찾는 경향이 나타나 샵검색이 이용자 편의와 카카오톡의 효용성을 한 차원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다음카카오는 전했다.

 

앞서 베타 버전으로 먼저 공개된 카카오톡 채널도 이날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채널은 카카오톡 내에 생성된 채널 탭을 클릭해 연예, 스포츠, 패션·뷰티, 동영상, 웹툰 등 다양한 관심사 기반 콘텐츠를 검색·감상·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다.

 

다음카카오는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다 궁금하면 채팅방에서 바로 검색하고 심심하면 채널에서 바로 콘텐츠를 즐기도록 하는 등 이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카카오는 새로운 모바일 검색 브랜드인 카카오검색도 함께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 샵검색과 채널, 다음 모바일 앱과 웹(m.daum.net) 등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서비스에 활용된다.

 

카카오검색은 이용자가 모바일에서 옆으로 넘기면서 보는 방식이 더 자연스럽다는 점을 감안,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 하는 기능에 더해 옆으로 넘기는 동작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를 대폭 늘렸다.

 

또 통합 검색 결과 내에서 정보를 편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페이지로의 이동을 최소화했고 이미지 콘텐츠의 전면 배치, 통합웹 시스템 적용 등을 활용해 모바일에서의 사용성을 높였다.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검색은 다음카카오의 합병 시너지이자 새로운 도약"이라며 "단순한 메신저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자를 연결하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성장해온 카카오톡이 이런 업데이트를 기반으로 이용자를 더욱 편하게 해주는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코로나 라이프] "코로나 이후 활기 되찾은 은행" 해외주식투자도 증가
[KJtime김지아 기자] "은행에 갔더니 사람들이 많아요. 이제 정말 코로나가 사라지고 있나봐요" 서울강남구에서 직장을 다니는 서하나(가명, 34세)씨는 점심시간에 짬을 내 회사 인근 은행을 찾았다. 번호표를 뽑았더니 대기인이 13명이다. 목요일 한산한 점심시간이었지만 사람들이 꽤 많았다. 모두들 마스크를 썼고, 은행을 찾은 방문객들이 앉아 있는 테이블 사이사이에 손소독제도 눈에 띈다. "코로나가 한참 심각했을 때는 영업시간도 한 시간씩 단축했다. 그나마 영업시간 안에도 방문객이 많지 않았다. 직원들 사이에서도 코로나19가 걸려서 은행업업을 못하고 2-3일씩 은행내부를 소독을 해야 했던 적도 있었다. 다 옛날일 같다." A 은행 직원의 코로나 후일담이다."대출 상담을 열심히 해주고, 상품까지 가입했던 고객이 있었다. 뿌듯해 하던 나에게 다음날 그 고객이 전화가 왔다. 코로나19 양성반응이 나왔다는 거다. 청천벽력 같았다. 은행에 같이 있던 직원 전부 코로나검사를 하러 가야 했다. 내 탓은 아니지만 정말 동료들에게 미안했던 적도 있었다" 은행 관련 업무를 보는 카페에는 코로나 후일담처럼 근무중 코로나19 때문에 겪었던 일들이 올라왔다.내용의 대부분은 "이제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