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한전KPS 목표주가 ‘하향조정’…이유는

“삼성증권 중국 위험노출 발목”…“한전KPS 인건비 부담 급증”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증권[016360]과 의 목표주가가 하향조정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4일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증권의 목표주가를 종전 59000원에서 53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이는 중국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관리 숙제가 여전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철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증권은 해외 사업만 보자면 중국 의존도가 높다해외주식 중개수수료 수익의 상당 부분은 후강퉁 시행, 주가연계증권(ELS)과 맞물린 중국·홍콩 주식 매매에 따른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연구원은 파생결합증권 판매순수수료 수익 증가분 489억원의 상당 부분이 ELS 조기상환 수수료일 것이라면서 지난해 말부터 나온 매각설은 삼성그룹의 일원으로 프리미엄이 부여되던 주가에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금융계열사를 삼성전자 같은 제조업 맥락에서 순이익 규모만 놓고 보는 기준에는 동의하지 않기 때문에 매각 가능성을 낮게 본다비용 효율 제고를 통한 적정 자기자본이익률(ROE) 유지, 주주 환원 증가 정책은 긍정적이며 주가순자산비율(PBR) 0.9배 수준의 현 주가는 중기적 관점에서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한전KPS의 목표주가를 13만원에서 11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이 회사의 현금 흐름 창출 능력과 이익 가시성 등 기존 투자 포인트는 훼손되지 않았다며 매수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이는 인건비 부담이 급증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한전KPS는 전날인 23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이 3785000만원으로 전년보다 60.7% 감소했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매출액은 3600억원으로 6.25% 늘었지만 당기순이익은 3085000만원으로 57.3% 줄었다.


신지윤·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전KPS의 지난해 4분기 노무비가 1325억원으로 전년보다 600억원 늘었다절반은 퇴직금 산정기준 변경으로 예상된 부분이었지만 나머지 300억원 때문에 어닝 쇼크(실적 충격)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들 연구원은 한전KPS는 지난해 하반기에 전체 인원의 10%가 넘는 540명을 채용했고 4분기에 임금과 성과급도 인상했다면서 인원 증가와 임금인상은 이익 추정치를 낮추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