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Jtimes=김지아 기자] 앞으로 일반국도에 스마트복합쉼터가 5개소나 설치된다. 이 스마트복합쉼터는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기술접목을 통해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휴식을 비롯한 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융․복합 쉼터다.
정부는 지난 2020년부터 5개소의 조성을 시작해 현재까지 총 5개소(인제, 옥천, 부안, 김제, 하동)를 운영하고 있으며, 18개소는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일반국도에 조성할 '스마트복합쉼터' 5개소를 지역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스마트 복합쉼터는 국토교통부가 시설부지, 진․출입로 등 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지자체가 이용객 휴게 및 편의시설의 설치와 쉼터의 운영·관리업무를 수행한다. 쉼터 1개소당 국가는 20억원, 지자체는 10억원 이상을 각각 분담해 총 30억원 이상을 투입해 6000㎡ 이상 규모로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친환경차 충전시설, 태양광 설비, 스마트 주차안내 및 조명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극 적용해 스마트 건축물로 조성하고, 아울러, 지역의 문화․관광 자원과 연계한 판매․홍보시설로 활용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4월 21일 부산국토관리청(영남권)을 시작으로, 4월 23일 익산국토관리청(중부권, 호남권), 4.28일 원주국토관리청(수도권, 강원권)까지 3차례의 설명회를 열어 그간 추진현황과 공모절차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사업 참여를 원하는 지자체는 설명회 이후 해당 지방국토관리청에 신청 서류를 7월 31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국토교통부는 평가 절차를 거쳐 '25년 9월 말까지 사업대상지 5개소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이우제 국토교통부 도로국장은 "안전한 운전을 위한 '휴식'의 제공이라는 쉼터의 기본 기능 외에 편안하고 즐길 거리가 있는 스마트한 일반국도를 지속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총괄계획가 지원으로 도시건축디자인 혁신도
'촐광계획가'를 들어봤을까? 국토부가 14일 각 지자체의 총괄계획가의 활동을 지원하는 ''2025년도 2차 민간 전문가 지원 공모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총괄계획가'란 공공건축의 디자인 품질을 높이기 위해 2008년 도입된 제도로, 지자체장의 위촉을 받아 주요 도시건축 공간 디자인 정책과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민간 전문가를 말한다.
심사 결과, 총괄계획가 운영 지원사업에는 경기 부천시․양주시(2개소 각 3000만원), 경북, 충남 천안시(2개소 각 2500만원)가 선정됐다. 부산과 경기 양주시, 충북 청주시에는 도시건축디자인계획 수립을 지원(1억원)한다.
이번 공모는 지난 3월 6일부터 3월 21일까지 이뤄졌으며, 4월 2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사업 내용의 적합성, 사업계획의 타당성, 실현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신청 지자체를 심사했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으로 지난 2019년부터 총괄계획가를 위촉해 운영하는 72개 지자체(광역 11개소, 기초 61개소)를 대상으로 총 39억원을 지원해 왔다. 또한 2019년부터 전국 50개 지자체(광역 5개소, 기초 45개소)에 총 79억원을 지원해 지자체의 도시건축디자인계획 수립도 돕고 있다.
이병민 국토부 건축문화경관과장은 "총괄계획가는 건축만이 아니라 도시와 건축, 경관을 아우르며, 종합적인 조정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총괄계획가가 함께하는 공공건축 기획으로 디자인과 기능 면에서 우수한 공공건축물이 건립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올해 수립하는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을 비롯한 정책과 사업에 총괄계획가의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적 기틀을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