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 조정한 종목…이것

‘대한항공•선데이토즈’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7일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대한항공[003490]이 눈에 띈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대한항공의 목표주가를 종전 5만원에서 37000원으로 26%나 내렸다. 이는 이 회사의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를 하회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3분기 매출은 2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줄고 영업이익은 2421억원으로 0.6% 증가에 그칠 것이라며 기말 환율 상승으로 약 6400억원 수준의 외환평가손실이 발생, 큰 폭의 순손실이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아웃바운드 수요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에서 벗어나 빠르게 회복했지만 인바운드 수요는 과거 성장세를 찾는 데에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며 구조적 경쟁심화로 수익성 회복이 더딜 것이라면서 다만 원화 약세 완화 및 점진적 항공수요 회복으로 추가적인 주가 하락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데이토즈[123420]의 목표주가도 떨어졌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22000원에서 19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그러면서 신작 상하이애니팡의 흥행 부진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선데이토즈 주가의 경우 2분기 실적 실망감으로 약세를 보이다가 상하이애니팡 기대로 상승세로 돌아서고선 론칭 후 실망감으로 다시 하락 전환했다고 진단했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상하이애니팡 매출 전망치 하향 등을 고려할 때 내년 주당순이익(EPS) 전망치 하향조정폭은 14%인 데 반해 주가는 전 고점보다 25% 하락했다상하이애니팡에 대한 실망감은 최근 주가 하락으로 마무리됐다고 분석했다.

 

성 연구원은 선데이토즈의 실적은 올해 3분기까지 부진하다가 오는 12월 애니팡 글로벌 론칭 등을 고려하면 4분기에 소폭 개선되고 내년 1분기에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면서 현재 가격대에선 11월 애니팡맞고, 12월 애니팡 글로벌(북미유럽) 모멘텀을 겨냥한 매수관점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