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상향조정’한 종목…바로 이것

“LG 5년 만에 이익 증가 전망”… “GS 실적 개선추이 뚜렷”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9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LG[003550]가 눈에 띈다. 현대증권은 이날 LG의 목표주가를 종전 77000원에서 85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5년 만에 이익 성장을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LG의 영업이익은 201019000억원을 고점으로 지난해 1400억원까지 4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왔다화학 부문과 전자 부문의 마이너스 성장과 비상장 자회사들의 수익성 저하가 주된 원인이었다고 지적했다.


전 연구원은 올해는 LG전자의 실적 감액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5년 만에 처음으로 20%의 영업이익 증가와 18%의 주당순이익(EPS)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에 따라 LG에 대해 긍정적 관점에서 접근할 만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면서 영업이익과 EPS의 마이너스 성장 때문에 주가도 5년간 박스권(5~77000)에 머물러 있었으며 LG의 플러스 성장을 감안해 목표주가를 높여 잡았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GS[078930]의 목표주가도 올랐다. 신영증권은 GS에 대해 실적 개선추이가 뚜렷하다며 목표주가를 종전 6만원에서 72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아울러 내년에도 저유가에 따른 추가 석유 수요가 지속하고 정제마진이 양호해 GS칼텍스의 이익 성장 견인이 지속할 것이라며 성장성이 우수하고 배당도 매력적이라고 분석했다.


오정일 신영증권 연구원은 “GS3분기 영업이익은 3128억원, 지배순이익은 604억원으로 전분기보다 각각 55%, 75% 줄었다면서도 부진이 예상된 비상장 자회사 GS칼텍스가 영업외손익에서 호조를 보여 추정치보다는 양호했다고 평가했다.


오 연구원은 “4분기에는 재고손실 소멸이 예상되고 견조한 정제마진 추이로 인해 GS칼텍스 영업이익이 3789억원으로 3분기보다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전력 판매가격이 약세이지만 전력 수요 성수기를 맞아 발전 자회사들 영업이익도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