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삼성전자, 증권가에서 ‘호평가’ 나오는 까닭

“1분기 영업익 5조8000억” “IM 부문 예상외 호조”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증권가에서 호평가가 나오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30일 삼성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165만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8000억원 수준으로 종전 전망치인 55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스마트폰의 개선이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의 약세를 만회했다우선 갤럭시S71분기 판매가 당초 가이던스(잠정실적)의 상단 수준인 당사의 예상치 800만대를 넘어 900만대 이상으로 상향됐다고 평가했다.


황 연구원은 “12S6의 판매량도 지난해 4분기의 월별 판매 수준을 상회하고 있는데 아이폰 약세로 통신사 보조금과 소비자 판매 개선의 반사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라면서 또 하나의 반가운 소식은 중저가 제품의 마진 개선인데 저가 J시리즈는 비수기인 1분기에도 4분기보다 소폭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삼성증권의 목표주가를 149만원에서 153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1분기 IM(IT·모바일) 사업 부문 영업이익이 기존 전망치를 상회할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대신증권은 삼성전자의 경우 IM 사업 부문의 실적 개선세로 올해 분기별로 6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업이익 추정치는 1분기 6조원, 2분기 64000억원, 3분기 65000억원, 4분기 64000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IM 부문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분기별로 각각 36000억원, 37000억원, 3조원, 26000억원 수준을 제시한다신제품의 출하가 호조를 보이고 있고 부품 원가 개선 등으로 IM 부문 마진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1분기 갤럭시 S71000만대 출하가 가능할 전망이고 하반기에 출하량이 상반기보다 축소되더라도 연간 기준 4600만대 출하량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해 상반기 대비 원가의 BOM(실제 투입량·Bill of Materials)이 절감된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유진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종전 15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1분기 실적이 갤럭시S7 판매 호조로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이정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S7 판매 호조와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 확대에 의한 시장지배력 강화와 수익성 호조 등으로 IM(IT·모바일) 총괄 실적이 대폭 개선되면서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정보기술(IT) 수요 부진으로 삼성전자의 실적 둔화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현재 주가는 이를 상당 부분 반영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을 기록하고 있어 하락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5%, 1.2% 증가한 501600억원과 6500억원으로 예상한다실적의 상향 가능성 확대, 주주이익환원정책 강화 등으로 당분간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 모멘텀이 강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