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현대증권’ 바라보는 증권가 시각…들어보니

“KB국민은행과 시너지 기대” vs “주가 정상화 갈길 멀다”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증권[003450]을 바라보는 증권가 시각은 어떨까.


4일 신한금융투자는 현대증권 목표주가를 종전 7700원에서 85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현대증권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에 KB금융지주가 선정된 것과 관련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는 국민은행의 뛰어난 리테일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너지 창출이 전망되며 은행 프라이빗뱅킹(PB) 센터와 연계한 복합점포 등 자산관리(WM) 영업 확대 등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손미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현대증권이 수년전부터 두각을 보인 국내외 부동산 투자 및 부동산 금융 부문도 크게 성장할 수 있다최근 NH투자증권이 농협은행을 등에 업고 인수금융 사업을 확대하는 전략도 충분히 벤치마크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손 연구원은 “KB금융지주가 인수한 지분율이 22.56%에 불과하므로 향후 최고 50% 수준까지 지분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현재 주가 수준에선 충분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이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같은 날, KDB대우증권은 현대증권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KB금융지주를 새 주인으로 맞이해 지배구조 문제가 해소됐지만 주가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정길원·김주현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현대증권은 현대그룹 밑에서 불필요한 증자와 전략 부재로 인한 수익성 위축 현상이 지속됐다비이자 이익 다각화가 절실한 KB금융지주 밑으로 편입됨에 따라 고객 기반 및 판매 경로 접합을 통해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들 연구원은 매각이 마무리됐지만 주가 정상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현대증권은 저축은행 자회사 등의 부실 처리를 상당히 진전시켰지만 부동산 위험 노출에 대한 시장 우려가 여전히 남았고 아울러 위탁매매 중심의 수익 구조도 주가의 근본적 할인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