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LG전자, 증권가에서 ‘호평가’ 쏟아지는 진짜 이유

“실적 수익성 중심 전략 성공 의미” “상반기 영업익 1조원 달성 예상”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에 대한 증권가의 호평가가 계속 이어지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삼성증권은 LG전자에 대해 매수투자의견과 목표주가 75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올 1분기 매출이 기대를 밑돌면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웃돈 것은 수익성 중심의 전략이 성공했다는 의미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LG전자는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잠정실적)505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5% 늘었지만 매출은 133621억원으로 4.5% 줄었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은 영업이익은 당사 추정치인 4340억원이나 컨센서스(시장기대치)4100억원을 크게 상회했지만 매출은 당사 추정치(144510억원)나 컨센서스(14630억원)를 하회했다고 평가했다.


황민성 삼성증권은 연구원은 당장 원가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수익 개선과 전망치 상향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하지만 수익 극대화에 환율, 원재료값 등 환경 요인도 커 보이는 만큼 월말 실적발표 때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 연구원은 시장은 G5 등의 2분기 생산·판매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신제품 상황을 지켜보며 당분간 관망할 것이라면서 “G5의 경우 미국 시장 대응이 늦어져 시장이 기대하는 2분기 수익률이 다소 하향될 위험이 있다고 예상했다.


같은 날, 현대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 83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실적 개선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현대증권은 최근 LG전자 주가의 경우 실적 개선 기대감에도 G5 수율 하락 및 판매 우려로 약세를 기록했다며 현재 밸류에이션인 주가순자산비율(PBR) 0.93배는 역사적 저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LG전자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이 5052억원으로 시장 전망치(4194억원)를 웃돌았다“HE(Home Entertainment) 사업부 실적이 대폭 개선됐고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부도 수익성 개선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2분기 영업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4% 증가한 5457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LG전자의 상반기 추정 영업이익이 11000억원으로 2014년 이후 2년 만에 1조원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런가 하면 이날 하이투자증권은 LG전자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75000원에서 8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올 1분기 영업이익(5052억원)이 시장전망치(4330억원)를 상회하는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이투자증권은 LG전자의 실적 개선은 HE(홈엔터테인먼트·TV 부문) H&A(가전과 에어컨) 사업본부가 이끈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HE 부문은 비수기에도 고사양 초고화질(UHD) TV 판매 비중이 예상보다 확대되면서 전체 TV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한 것이라고 추잔했다.


송은정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연결 영업이익 예상치는 7280억원으로 당초 예상치를 크게 뛰어넘을 것이라며 부진했던 MC(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사업본부의 실적 개선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송 연구원은 “2분기 G5 판매량이 300만대를 웃돌아 MC 부문의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면서 고사양 가전 브랜드가 북미와 서유럽뿐만 아니라 중화권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