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정두언, 원유철에 직격탄 "한번 간신은 영원한 간신"

[KJtimes=김봄내 기자]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18일 원유철 원내대표의 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대를 둘러싼 당내 논란과 관련, '절대불가' 입장을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출연, "주변에서 새누리당을 구제불능이라고 하면서 '권력을 위해 입안의 혀처럼 군 사람이 지금 그 사람인데 새누리당에 뭘 기대하겠느냐'고 한다"면서 "도대체가 이렇게까지 뻔뻔할 수 있느냐. 쓴 웃음이 난다"고 강한 어조로 원 원내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특히 "한번 간신은 영원한 간신"이라면서 "이런 마당에 비대위원장을 그런 사람이 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사람들이 본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수습을 하려면 먼저 사과하고, 책임자들은 책임을 지고 '앞으로 이렇게 하겠다'며 새로운 길을 제시하면서 그에 맞는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야 하는데 지금 상황은 하나도 되는 게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의원은 이번 총선 참패의 이유에 대해 "국민을 화나게 했기 때문"이라며 "권력의 주인은 국민인데, 권력을 위임받은 사람들이 주인을 무시하면 (주인이) 화를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민주화를 이룬지 벌써 30년이 지났는데 정부·여당에서 과거 군사독재 시절보다 못한 시대착오적인 행태를 보인 것이다. 그게 참패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지도자가 권력자가 아니라 책임자가 될 때 일이 풀리기 시작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겨냥했다.

 

정 의원은 이밖에 탈당 무소속 당선인의 복당 문제와 관련, "지금 복당을 얘기할 시기는 아닌 것 같다"고 지적한 뒤 '막말 파문'으로 공천 배제된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윤상현 의원에 대해서는 "그 사람이 복당을 하려면 당연히 자신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하는데 저는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