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CJ E&M, 증권가에서 주목하는 진짜 이유

“1분기 영업익 기대 이상” “수익성 개선 전망”

[KJtimes=김승훈 기자]CJ E&M[130960]에 대해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 동부증권 등 증권사들이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1일 삼성증권은 CJ E&M의 목표주가를 96000원에서 105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 89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가량 줄었지만 컨센서스(53억원)67.9% 웃돈 수준이라며 방송 부문의 광고 매출 성장(20%)과 해외 콘텐츠 판매 등 기타 매출 증가(74%)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양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방송 부문은 광고 성장, 해외매출 증가 등으로 견고한 이익 성장세가 예상된다면서 영화 부문 역시 개봉일정이 몰려있는 하반기에 해외 시장에서 모멘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스 엔터테인먼트 그룹(MARS Entertainment) 지분 인수는 CJ그룹 차원의 터키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이라고 판단했다.


양 연구원은 국내외에서 지속 성장이 전망되는 점을 반영해 적극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다만 넷마블 지분 가치가 CJ E&M 시가총액의 절반 수준으로 추정되는 만큼 넷마블의 향후 성장세는 상하방 위험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미래에셋증권은 CJ E&M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06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미래에셋증권은 CJ E&M1분기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액 3135억원, 영업이익 89억원으로 당사 전망치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며 콘텐츠 경쟁력을 바탕으로 방송 광고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하며 높은 성장을 보여줬다고 분석했다.


정윤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디지털 광고와 VOD, 해외 콘텐츠 판매 등 기타 매출도 686억원으로 같은 기간 74% 늘었다드라마 콘텐츠 무형자산 상각 연수를 기존 4년에서 1.5년으로 변경해 비용이 증가했음에도 미디어 부문 영업이익 51억원을 기록했다고 진단했다.


정 연구원은 영화 부문은 매출 403억원, 영업이익 38억원을 기록했고 1분기 흥행 부진에 따른 극장 매출 감소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실적이 줄었다면서 “2분기에는 방송 광고 성수기 진입과 국내외 흥행 기대작 개봉이 예정돼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 만큼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2346억원, 174억원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날 동부증권은 CJ E&M의 목표주가를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경우 올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박상하 동부증권 연구원은 “CJ E&M1분기 영업이익 89억원은 시장전망치(35억원)를 크게 상회한 것이라며 성장의 양 축은 광고 매출과 콘텐츠 판매·디지털 광고 등 기타 매출이라며 광고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1% 증가했고 디지털 광고·VOD·콘텐츠 판매 등 기타 매출은 74.3% 증가했다고 판단했다.


박 연구원은 “CJ E&M의 입증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토대로 글로벌 사업 본격화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면서 “CJ E&M의 가파른 성장을 감안해 올해 이익 추정치를 20%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